서민교통수단인 ‘농어촌버스’에 대한 지원이 대폭 강화됐음에도 지역민이 체감하는 교통편익은 전연 나아지지 않는데 따른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국가와 지자체는 서민들의 교통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경영난이 심화되는 농어촌버스 업체에 벽지노선 손실보상, 비수익 노선 손실보상, 버스 재정지원금, 유가보조금 등의 명목으로 많은 지원을 해오고 있다.
실제 관내 농어촌버스 업체(경일교통)에 대한 지원금은 지난 2007년 8억3천400여만원에서 2008년에 10억8천500여만원으로 껑충 뛰었다.
특히 벽지노선은 2008년 20개 노선(3억9천700여만원)으로 전년 13개 노선(1억9천900여만원) 대비 2배 이상 지원이 늘어났다.
이 같은 지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농촌인구 감소와 자가용 및 셔틀버스 이용객의 증가로 승객이 감소하는 데다가 고유가 여파까지 더해져 업체의 경영난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게다가 업체는 적자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데에만 급급해 배차시간 불안정, 불친절 등 교통서비스는 개선에는 신경쓰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승객은 “지원금은 늘고 있지만 서비스 등의 질은 제자리걸음으로, 서민을 위한 지원이 단순한 업체에 대한 지원으로 해석되고 있는 것 같다”며 “실제로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이용객 사이에도 정확한 운행시간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불친절도 여전하다”고 주장했다.
郡 관계자는 “운수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를 계기로 친절서비스의 생활화·배차시간 준수 등 이용객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지도에도 주력하겠다”며 “평소에도 업체 및 터미널 등의 종사자에 대한 친절도 향상을 주문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버스터미널에 친절도 개선명령을 내린 바도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외부 지원에만 기대지 말고 경영정상화를 위한 개선책 마련에도 힘쓰고 있다”며 “이 일환으로 운송원가 절감을 위해 승객이 적은 벽·오지노선에 투입할 중형버스 구입을 요청, 지난해말 관내 운행중인 22대의 버스 중 차령이 다한 3대의 버스는 기존 대형(40인승 이상)에서 중형(30∼32인승)으로 교체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