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미래에 희망과 용기를 주기 위한 ‘I can do 성공교실’이 지난 14일 우체국에서 청소년과 학부모 등 가족단위로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강사로 나선 우인회 한국폴리텍Ⅵ대학 김천캠퍼스 학장은 90분간의 강의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강렬한 욕망과 크고 간절한 꿈을 가지고, 할 수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큰 목표를 세워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전진하라”고 강조했다. 이번 ‘I can do 성공교실’은 지역 기여사업의 일환으로 본사가 주최하고 성주발전포럼이 주관했으며, 성주우체국이 후원했다. 연중기획으로 매월 둘째 주 토요일에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강연요지는 지면관계상 심하게 요약해 아쉬움이 크다. 강연요지=성공으로 가는 길 우리는 누구나 성공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나름대로는 성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원한다고 다 성공의 길로 갈 수 있는 것도 아니며, 누군들 성공하지 못한다는 법칙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성공으로 가는 길’에는 많은 경우의 수가 있겠지만 저는 오늘 그동안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요인을 5가지 주제로 요약해서 제시하고자 합니다. 첫째 욕망이 성공을 이루는 힘이 됩니다. 욕망은 원초적 에너지로서 성공의 밑거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욕망은 좋다 또는 나쁘다고 말할 수 없는 가치 중립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욕망은 클수록 좋다고 할 수 있지만 자기관리 또는 통제 가능한 욕망이어야 합니다. 관리나 통제가 불가능한 욕망은 그저 헛된 야망이나 화근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극히 경계해야 합니다. 정말 가치 있는 욕망을 가슴에 간직하고, 이를 꿈을 이룰 수 있는 열정으로, 열정을 신념화로 이어갈 때 욕망은 성공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간절한 꿈을 가져야 합니다. 간절함이란 무엇입니까? 숨막힘, 목마름, 갈구(渴求) 등으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무엇 때문에, 왜 성공해야 하는지, 또 무엇이 되고자 하는지에 대해 간절한 바람이 있어야 합니다. 간절한 소망이 있어야 뚜렷한 목표도 세울 수 있고 실천의지도 생겨나는 것입니다. 결국 욕망이 커야 절실함, 간절함이 애틋해 질 것이며, 간절함이 얼마나 깊으냐에 따라 소망의 실현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간절한 꿈을 가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셋째 할 수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무장해야 합니다. 가진 것이 없어, 두 눈은, 팔다리는, 내 나이에, 능력이 부족해 하면서 내가 가진 강점은 잊고 갖지 않은 것만 생각하며 패배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은 성공에 다가서지 못합니다. 두 다리가 없어도 에베레스트를 등정하고, 한 팔이 없어도 권투선수로 명성을 날리는 성공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운명은 하늘이 내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내가 가진 것, 내가 가장 잘하는 것을 끄집어 내 할 수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밀고 갈 때 성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넷째 크고 간절한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우리는 크고 작은 일을 막론하고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정합니다. 하물며 인생의 목표를 세우지 않고서야 되겠습니까. 내가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 무엇을 얼마나 가질 것인가 등에 대한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그런데 그 목표는 크고 간절해야 합니다. 삶은 수많은 장애를 극복하는 연속된 과정입니다. 예컨대 작은 구슬은 약간의 요철 부분도 뛰어 넘기 힘들지만 축구공 같이 큰 구슬은 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이치입니다. 크고 간절한 꿈과 목표는 수많은 장애를 딛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기와 추진력을 부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성취도를 보다 높이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입니다. 크고 간절한 목표를 세우고 지금, 오늘, 내일 무엇을 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다섯째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모든 성공은 고생과 실패의 보상입니다. 발명왕 에디슨은 청각장애에 문제아였으며, 학교는 3개월 밖에 다니지 못했습니다. 기차역 급사, 보조 전기기사로 전전하다가 2천번의 실패 끝에 전구를 발명해냈습니다. 그는 2천번의 실패를 ‘실패가 아니라 불가능의 발견’이라고 했으며, 수만 번의 실패 끝에 1천93개의 특허를 등록했습니다. 링컨도 9살에 엄마를 잃고 계모 밑에 성장하면서 학교는 근처에도 가보지 못했습니다. 독학으로 변호사가 되었으나 2번의 사업실패, 약혼녀 사망, 모두 5번에 걸쳐 주의원, 상·하원의원에서 고배를 마셨지만 그는 끝내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실패는 용서해도 포기는 용서할 수 없다”는 경구를 남겼습니다. 세상에는 100%의 확률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실패가 두려워 시작조차 않는 것은 성공하지 않겠다는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비바람이 친 뒤에야 무지개가 뜨는 법, 성공하고 싶으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 학장은 제1회 ‘I can do 성공교실’은 기본과정 1단계임을 밝히고 본인의 강의가 청소년과 학부모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 성공을 위한 의지를 드높일 수 있는 계기를 희망하고, 가수 인순이의 ‘거위의 꿈’을 영상으로 보여주며 다음을 기약했다.
최종편집:2025-05-16 오후 01:43: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