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스모그와 황사로 인해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연이어 `나쁨` 수준을 기록하는 가운데 성주군에서는 미세먼지에 대한 별다른 대응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자체들이 미세먼지 감축에 경쟁적으로 나서는 등 국민적 관심사인데다 새 정부가 미세먼지 대응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면서 지역맞춤형 저감 대책 마련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구미시는 지난 12일 미세먼지 대응 캠페인을 실시하고 시민들에게 황사 및 미세먼지 경보 발령 시 대응방안을 담은 홍보 리플릿과 황사마스크를 전달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영주시와 안동시에서도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 대신 `자전거 타기` 붐을 조성하고 주민들에게 무인자전거 시스템을 구축해 무상으로 자전거를 빌려주고 있다.
그러나 성주군에서는 미세먼지 대응 방안 및 홍보교육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성주군 관계자는 "미세먼지 대처 방안에 대한 일시적인 홍보는 하고 있지만,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 인터넷이나 언론으로 보도가 잘 되고 있어 별다른 대책 마련은 아직 없으며 메뉴얼 등도 마련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성주군교육지원청에서는 최근 관내 초·중·고 교감 및 교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대처 방안 및 미세먼지 종합관리 대책과 대응 실무 메뉴얼을 통한 교육을 2회에 걸쳐 실시한 게 전부이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4일까지 전국 각지에 발령된 초미세 먼지 특보는 모두 85차례였다. 지난 해 41회와 2015년 51회에 비해서 훨씬 더 많다.
초미세 먼지 경보 및 주의보인 특보는 공기 1㎥ 당 90㎍ 이상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발령된다.
최근 서울의 미세먼지(PM10지름 10㎛ 이하) 일평균 농도는 264㎍/㎥를 나타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미세먼지 농도가 ㎥당 100㎍ 정도면 자동차 터널안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호흡기 등에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고, 심장 질환, 순환기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고혈압,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성도 높다.
성주군 평균연령이 50.1세인 것을 감안할 때, 노인들이 젊은 층보다 많으며 농촌지역의 특성상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도 밖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어서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을 위한 예방교육 및 행동요령에 대한 홍보가 확산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6일 국민안전처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세먼지 행동요령`을 게시하고, 미세먼지에 대응할 국민 행동수칙을 안내하고 있다.
행동요령에 따르면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을 때에는 어린이나 노인, 폐질환·심장질환 환자 등은 실외 활동을 제한하고, 일반인도 오랜 시간이나 무리한 실외활동을 줄여야 한다.
또한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됐을 때에는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일반인도 무리한 실외활동을 자제한다. 부득이하게 외출할 때는 마스크를 착해야 한다.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는 미세먼지 경보·주의보가 발령되면 학생들의 실외 활동을 금지하거나 수업 단축·휴교조치 등을 하고, 공공기관 야외체육시설 운영도 제한 또는 중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