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4기가 지난 7일 초전면 소성리 성주골프장에 추가 반입됨에 따라 작전 운용에 필요한 사드 1개 포대 배치가 완료됐다.
지난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 도발이 이어지며 문재인 대통령이 사드 잔여발사대 추가배치를 지시한지 41일, 지난해 7월 정부가 사드 성주배치를 발표한지 14개월만이다.
상황은 급박했다. 하루 전인 지난 6일 오후 2시부터 국방부가 사드 잔여 발사대 4기를 추가배치 한다는 소식에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는 사드 반대 주민들과 전국에서 사드반대 단체들이 속속 모여들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이날 동원된 경찰 병력은 8천500여명에 달했다.
주민 500여명은 사드기지 진입로와 소성리 마을회관 앞 도로에 앉아 항의집회를 이어갔으며 차량과 포크레인 등으로 진입로를 막은 채 사드 차량이 기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며 저항했다. 그러나 경찰은 병력을 동원해 밤 10시경부터 도로를 막고 있는 차량을 견인하고 주민들의 강제 해산을 촉구하며 격렬한 몸싸움이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경찰을 포함해 부상자가 속출했다.
경찰과 사드반대 주민들간 격렬한 대치가 밤새도록 이어졌지만 결국 다음날인 7일 오전 8시경 사드발사대를 실은 대형트럭들이 주민들의 통곡과 오열 속에 저지선을 뚫고 성주골프장으로 향했다.
사드배치가 종료된 후 국방부는 "각종 탄도미사일 발사와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 인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 발사대 4기를 추가 배치했으며 이번 사드배치는 최종이 아닌 임시배치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주민들과 대화하면서 지역민의 상처를 치유하고, 환경과 건강에 미칠 영향 등 현지 주민의 우려 해소를 위해 관계법에 따라 충실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사드반대 단체들은 이날 오전 10시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 염원으로 탄생한 정부가 국민을 배반했으며 `사드배치과정을 진상조사하겠다`, `절차적·민주적 정당성을 갖추고 국회 동의를 받겠다`는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사드를 철거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며, 민주주의와 국민의 존엄성을 훼손한 정부에 대한 항의도 이어갈 것이다"며 "사드 발사대 추가 반입을 막지 못했지만, 18시간 동안 이곳을 지키며 기세 있게 싸운 것은 분명한 승리이며, 앞으로 사드를 뽑아내는 그 날까지 투쟁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 8일에는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손피켓을 들고 사드추가배치 강행규탄 기자회견이 열렸다. 주민들이 버스를 타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사드 철거 여론전을 펼치기 위한 `파란나비 원정대`도 출범했다.
한편 중국 정부 및 언론에서는 "한국 사드배치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남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고 해치는 행위이며, 사드가 북핵과 같이 지역 안정을 해치는 악성종양이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