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은 사람으로서 생활하는데 지녀야 할 기본 자질이며, 인간다운 삶의 질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생활습관에 관련되는 예절, 질서, 청결, 절제 등의 덕목들을 교육의 중요한 내용으로 선정하여 감수성이 높은 유아 초기부터 집중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직접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소중한 우리자녀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올바른 부모교육법에서 먼저「예절생활」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 주】
♡기본생활습관의 지도 예절 - 2
☆ 예절은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예절은 아름다운 마음을 표현하는 행동의 시작입니다.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고 존경하는 따뜻한 인간관계가 예절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나아가서 밝고 건전한 사회생활의 기반이 됩니다.
『버릇없는 행동』이란 예절을 갖추지 못한 태도를 말하는데 아직 어리기 때문이라고 그냥 지나쳐 버려서는 안되겠습니다.
예절은 인사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알게 하여 어릴 때부터 아름다운 마음씨가 바탕이 되어 어느 곳에서든지 인사는 『내가 먼저』하는 습관을 갖도록 지도하여야 되겠습니다.
☆ 가정교육의 기본은 인사 잘하는 자녀를 키우는 일입니다.
‘한 어머니가 백 명의 스승보다 낫다’는 말이 있듯이 이제는 부모님들이 먼저 모범을 보이고 자녀를 올바르게 키우는 일에 앞장설 때 입니다.
1. 집에서
。 아침에 일어나서 잠자리에 들 때, 집에서 나서거나 돌아왔을 때, 손님이 오고 가실 때 언제나 바르게 인사합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자리에 들 때
·웃어른에게 : “~, 안녕히(편히) 주무셨어요? (주무셨습니까?)”
·동생에게 “~야, 잘 잤니?”
식사를 시작할 때, 끝났을 때
·웃어른에게 : “~, 진지 드세요.(드십시오.)”
“~, 잘 드셨어요?(드셨습니까?)”
·동생에게 “~, 밥 먹자 .”“~, 잘 먹었니?”
유치원이나 학교 갈 때와 돌아 왔을 때
·웃어른에게 : “~, 유치원(학교) 다녀 오겠습니다.”
“~, 유치원(학교) 다녀 왔습니다.”
·동생에게 “~, 유치원에 다녀 올게.” “잘 다녀 왔어”
놀러(심부름) 나갈 때와 돌아 왔을 때
·웃어른에게 : “~, ○○에 다녀 오겠습니다.”
“~, 놀다가 왔습니다.”
·동생에게 “~, ○○에 다녀 올게”
가족이 나갈 때와 돌아왔을 때
·웃어른이 나가실 때 : “~, 안녕히(잘) 다녀 오세요.(오십시오)”
"~, 안녕히 다녀 오셨어요?(오셨습니까?)“
·동생이 나갈 때 : “~, 잘 다녀 와”
2. 동네에서 웃어른이나 외국인을 만났을 때
。 웃어른이나 친구를 만나면 먼저 반갑게 인사합니다.
。 이웃끼리 마주치며 웃는 얼굴로 인사를 합니다.
·웃어른에게 : “~, 안녕 하셨어요?(안녕 하셨습니까?)”
·친구에게 : “~, 잘 있었니?”
3.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아침에, 집으로 돌아갈 때
。 선생님이나 친구를 만나면 먼저 인사합니다.
。 친구어머니나 방문하는 손님께 공손하게 인사합니다.
·선생님에게 : “선생님, 안녕하세요?(하셨습니까?)”
“선생님, 안녕히 계세요.(계십시오)
·친구에게 : “~, 안녕?” “~, 잘 가.(안녕)”
4.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릴 때
엘리베이터에서 서로 인사를 나누고 층을 물어보고 눌러줍니다.
。엘리베이터를 탈 때는 줄을 서고 할아버지, 할머니를 먼저 타시게 합니다.
。엘리베이터를 타면 먼저 들어간 사람이 ‘버튼’을 잡아 주어 다른 사람이 다 탈 때까지 도와줍니다.
·웃어른에게 : ~, 안녕하세요?(안녕하십니까?)”“먼저 내리겠습니다.”
·친구에게 : “~, 안녕? ”“내가 먼저 내릴게.”“잘 가.”
위의 인사들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인사법이지만 실천이 더 중요하며 특히 유아기에 형성된 습관은 평생을 가므로 자녀들에게 지도하신다면 인사만으로도 훌륭한 예절교육이 됩니다. 예절교육의 기본은 인사를 잘 하는 자녀를 키우는 일입니다.
필자: 재구 성주중고 동창회장
대구 유아교육카톨릭협회 회장
사단법인 몬테소리연구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