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제467호(5.27字)에서 제기한 바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문제’ 해결에 군이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 관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감량사업장과 집단주거단지 등을 제외하고는 종량제규격봉투에 혼합 배출, 가축사료나 퇴비로 쓰이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분리배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대부분 직접 매립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에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곤충은 물론 침출수에 의한 수질악화, 쓰레기매립물량 증가 등 환경문제가 대두돼 왔으며, 특히 2005년부터 시 단위 이상 지역의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이 금지(폐기물관리법)된 가운데 2012년부터는 군 단위 적용이 예상됨에 따라 대안 마련이 시급해졌다. 공동ㆍ단독주택, 분리수거 시범 운영 성주군(군수 이창우)은 차후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전면시행의 기틀을 마련코자 8월 1일부터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음식물류폐기물 분리수거를 시범 운영키로 했다. 시범대상은 읍 시가지(경산 1∼8리, 성산 5리, 예산 1ㆍ3ㆍ4리) 및 초전면 공동주택(대장 1리) 3천460여 세대(감량의무사업장 제외)이 해당된다. 군에 따르면 관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매립장 반입량을 기준으로 할 때 일 3.9톤으로, 대상지역에는 단독주택 2천535세대·공동주택 924세대 총 9천475명이 거주하는 가운데, 일 평균 2.14톤 정도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가정용 용기를 이용해 일정구간별로 배치돼 있는 음식물류폐기물 전용수거용기(120ℓ)에 배출하면 폐기물 수거업체에서 매일 수거하게 되며, 수거된 음식물류폐기물은 관내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업체(주 앞선환경-사료ㆍ자원화)에 위탁할 예정이다. 이창우 군수는 “이번 음식물류폐기물 분리수거 시행으로 종전 종량제봉투에 의한 음식물류폐기물 배출에 따른 주변 환경저해 감소와 악취 발생 등으로 제기된 민원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생활폐기물처리시설(매립시설) 관리 안정화 및 비용절감의 효과 역시 기대된다”며 “앞으로 환경기초시설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해 쾌적한 성주군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실효성 높이기 위해서는 民 협조 필수 하지만 이번 시범사업이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상당하다. 군이 내놓은 운영방식은 별도의 부담 없이 전용수거함에 음식물쓰레기를 무상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이는 배출자의 감량의지가 느슨할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분리배출을 통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감소라는 기본 취지와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 일각에서는 “별도의 부담 없이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다면, 쓰레기 발생량 감소효과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며 “또한 쉽게 부패하기 쉬운 여름철에 악취가 나는 수거용기를 설치하는 것도 위치선정에 어려움이 있을 것”을 우려했다. 이와 관련 군 환경보호과에서는 올 하반기 시범운영을 통해 효과를 검증한 후 내년 상반기부터는 미 시행 지역의 마을 집성촌까지 확대ㆍ실시할 계획이며, 시범운영기간에는 무상 수거ㆍ처리하지만 내년부터는 ‘원인자부담원칙(종량제)’에 따라 주민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을 밝혔다. 이때 수수료는 인근지역 사례(공동주택-고령군 1천50원, 칠곡군 900원)를 참고해 봤을 때 세대당 월 1천원 정도 부과예정으로 알려졌다. 또한 수거방법과 관련, 문전수거(집앞 배출)와 거점수거(일정장소에 공동배출) 그리고 혼합수거의 3가지 안을 두고 고민한 결과, 일부 단점이 있으나 배출시간이 자유롭고, 배출장소가 줄어들어 수거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이유로 거점수거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이달 중 주민설명회를 갖고, 읍과 초전면 일대에 현수막을 게첨함은 물론 홍보물 배부, 성주소식지 게재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대다수 지자체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지만 명확한 대안은 도출되지 못한 상태다. 다만 쓰레기 감량을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잘 처리하는 것보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으로, 결국 지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
최종편집:2025-05-16 오후 01:43: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