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을 곳이 없어요!” “애가 아프면 어디로 가야하죠?”
요즈음 지역의 젊은 부부들은 고민이 많다. 관내에 임산부가 안전하게 진료를 받거나 출산할 수 있는 산부인과가 전무하기에, 차로 20분에서 1시간 가량 떨어진 인근 지역 병원을 이용하며 경제적 손실과 함께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게다가 아이를 낳고 난 후에도 고민은 이어진다. 소아과나 이비인후과 등 기본적인 의료기관이 없어 아이가 감기에 걸리거나 잔병치레라도 할라치면 고민이 앞서기 때문이다.
실질 인구가 약 3만7천명에 불과한 성주군의 지난해 출생아수는 총 251명.
한 달에 약 21명의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셈이다. 하지만 한 달에 30건 이상은 분만 시술을 해야 수지타산이 맞는 산부인과 입장에서는 운영난이 예상되는 농촌지역에 병원을 개업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그나마 한군데 있는 소아과마저 최근에 경영이 어려워 문을 닫을
정도니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말로만 출산장려 정책을 내세울 것이 아니라 임산부들이 마음놓고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의료 서비스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불만은 많은 농·어촌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내용이지만, 지자체에서는 뚜렷한 대안을 내지 못하고 있다.
郡 역시 저출산 극복을 위해 출산장려 분위기 몰이에 지속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2007년에는 출산장려업무를 담당할 ‘출산정책’ 부서를 신설한 가운데, 전국 최초로 아기와 엄마를 위한 보험 도입과 함께 출산장려금 등 각종 지원을 해오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임산부들이 지역에서 아이를 낳아 기르기 열악한 환경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아무리 많은 출산장려책을 내놓아도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며 “근본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출산장려책 수립”을 촉구했다.
염석헌 보건소장은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어린 아이들이 많지 않다 보니 산부인과나 소아과가 운영난을 이유로 진입을 꺼리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에 보건소에서 소아과나 산부인과 등 지역특성상 꼭 필요한 진료를 할 수 있도록 道에 관련과목 공보의를 배치해 줄 것을 적극 요청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