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일 치러질 산림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선거 열기가 서서히 달아오르고 있다.
선거를 20여일 앞두고 그동안 조합의 실질성장론, 인물교체론, 행정실무론 등을 주장하며 벌이던 물밑작업이 수면위로 모습을 드러내면서 3천300명에 달하는 유권자(조합원)들의 표심잡기 행보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선관위에서는 오는 12일 출마예정자를 소집하여 설명회를 열고 13일 공고를 거쳐 21∼22일 후보등록을 마칠 예정이며, 이후부터는 본격적인 선거 레이스에 돌입하게 된다.
지난 8일 현재 세인들의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출마예정자는 3명으로 노오문 현 조합장, 최재봉 전 군청 산림과장, 이건상 한솔조경 대표가 그들이다. 최종 출마자는 22일 밝혀지게 된다.
노 조합장은 “10년 간 조합장에 재직하면서 실질적인 조합 발전을 이끌어 냈다”며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이익창출을 배가시키고 산림자원의 선진화 기반을 이룩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최재봉 전 산림과장은 ‘산림조합은 숲을 가꾸고 자원화 하는 것이 주 업무인 만큼 산림행정 경험이 필수적’이라며 ‘38년의 경험을 축적한 산림행정전문가로서 조합의 밝은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출마 이유를 나타냈다.
이건상 한솔조경 대표는 ‘관(官) 의존도가 높은 현재의 경영체제를 명실상부한 자립형 경영체제로 탈바꿈시켜 미래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실질적인 조합원 이익을 도모하겠다’는 의욕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출마예정자들은 유권자에게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묘안이 없어 난감해 하고있다. 선거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선거운동방법은 우편으로 배달되는 선거공보물 이외에는 오직 전화와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수단에 의해서만 선거운동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도 공식적으로는 후보자 등록을 마친 다음부터 직계가족에 한해서 허용되고 있다. 또 조합장 선거는 예비후보로 등록하는 제도마저 없기 때문에 어려움은 더욱 심하다. 결국 평소 활동에 의한 인지도가 유권자의 표심으로 크게 작용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선관위에서는 6명의 부정감시단을 위촉해 간단없는 단속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출마예정자에게 불·탈법 행위 근절에 관한 협조를 구하고, 사법기관과 공조체제를 구축해 공명선거 실현에 힘을 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