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순서 1회 스마트시티가 도시경쟁력이다 2회 국내사례 인천 송도, 서울시를 가다 3회 해외 스마트시티의 현황 4회 해외사례 뉴욕을 가다 5회 해외사례 캘리포니아를 가다 사람들은 누구나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길 기대한다. 보다 편리한 삶, 안전한 삶을 통해 행복을 추구한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도시에 스마트시티 열풍이 뜨겁다. 스마트시티 정책의 가장 큰 목적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데 있다. 여기에 정보통신 기술 발전이 더해지면서 그 가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해외의 경우 스마트시티의 의미와 지향점 등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성주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주관,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2014년 제1차 공동기획취재 `똑똑한 도시, 스마트시티를 가다`란 주제로 공동취재를 진행했다. 인천 송도와 서울시 등 국내를 비롯한 미국 뉴욕, 캘리포니아 등 해외 스마트시티 현장을 둘러보며 성주군의 스마트시티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전망해 보기로 한다. 글로벌 도시화로 도시문제가 증가 추세 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기능 정립 필요 윤용익 숙명여대 멀티미디어 교수는 "Smart life 시대에서 사람들은 Anytime, Anywhere, 자기가 원하는 Anydevice에 필요한 정보와 콘텐츠(Right Contents and Services)를 원한다"며 "이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의 개발자 및 사용자가 스마트 시대에 살아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1975년 메가시티수가 전세계 3개에 불과했지만 2013년 23개로 늘어났으며, 2025년이 되면 37개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글로벌 도시화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도시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인도, 중국 등 신흥국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주택, 교통, 공해, 에너지 등 도시문제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신흥국은 농촌 인구가 많고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민 삶의 질 개선과 고용창출 등을 위해 도시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하지만 신흥국의 급속한 도시화는 실업, 범죄, 교통난, 에너지 부족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반면에 유럽, 북미 등 선진국들은 노후 도시들의 경쟁력 제고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도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선진국들은 도시 인프라나 도심이 노후화된 곳이 많아 경쟁력 제고와 경기 활성화를 위한 도시 재생사업이 필수적이다. 선진국은 국민 대부분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어 전반적인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도 도시환경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유럽, 미국 등 선진국들의 도시인구 비중은 80% 이상이며, 특히 우리나라 도시 인구비율은 90% 이상이다. 그만큼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스마트시티가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스마트시티가 도시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스마트시티란 도로, 건물, 공원 및 도시기반공간에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해 교통, 환경, 복지 등에 각종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하는 첨단 도시(Smart-City)를 말한다. 스마트시티의 특징은 △공급자가 아닌 시민 중심 △인프라가 아닌 서비스 중심 △물리적 공간이 아닌 사이버 공간 중심 △지리적·물리적 기반이 아닌 스마트 서비스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 교통 체증이 발생하면 도로를 신설하거나 확장하는 방법으로 도시기반시설을 확대한 반면에 스마트시티에서는 우회도로 이용 정보를 제공하거나 대중교통을 증설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수룡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평가위원은 "도시 문제 해결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as is에서 to be로, one way에서 two way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빈부 격차, 주거 부족, 교통 체증, 쓰레기 처리, 에너지 부족 등 도시가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스마트시티 정책"이라며 "단순히 기술만이 아니라 도시민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때 제공하는 그 모든 것이 이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시티의 컨트롤타워 역할은 통합운영센터이다. 최근 주요도시와 신도시를 중심으로 설치되는 통합운영센터가 스마트 플랫폼 역할을 담당한다. 통합운영센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Smart-City의 각종 기반시설정보 및 외부 연계정보를 통합·분석·가공해 스마트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최첨단 도시관리시스템 구축한다. 방범, 홍수, 대기오염 등 공공 u-서비스를 위해 각종 상황을 모니터링해 긴급시 대응할 준비한다. 특히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사전에 등록해, 향후 상황 발생시 비교, 추론하고 이력관리를 진행해 지식을 축적한다. 또한 상황을 신속하게 수집하는 센서들에 대한 원격 설정 및 장치관리 등을 실시해 IoT 환경기반의 공공 Smart 서비스를 제공한다. 성주군에서도 올해 12월 말까지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통합관제센터는 최근 3년간 읍면에 설치된 지능형 CCTV 280대와 하천감시 15대, 쓰레기불법투기 감시 5대, 산불감시 4대, 불법주정차 감시 3대 등 500여대와 초등학교 시설연계 115대(14개교) 등 총 600여대의 CCTV를 통합 운영할 예정이다. 센터가 구축되면 어린이안전 및 방범용, 하천수위관측, 산불감시, 교통정보 수집, 불법쓰레기투기, 각종 시설물 관리 등 부서별·용도별로 분산·운영 중인 CCTV관제업무를 통합해 관리할 수 있으며, 초등학교 CCTV의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각종 사건·사고와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 송도 U시티 사업단,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교통정보센터 등 우리나라 대도시에는 이미 통합운영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통합운영센터가 제대로 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CCTV뿐만 아니라 차량 속도, 감지, 지진 및 화재 등 재난 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수집된 정보, 지역의 소방서, 경찰서의 사고 정보, 기상청, 도로교통공단, 소방방재청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정보를 통합 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가 통합돼야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윤용익 교수는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의 구축과 통합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제도 개선과 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기능 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스마티시티는 똑똑한 서비스를 통해 정확한 콘텐츠가 시간에 맞춰 도시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며 "스마트시티의 목적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술은 발전하는데 서비스를 받거나 주는 사람과 소통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제2회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의 선두주자인 인천 송도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운영방안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최종편집:2025-04-30 오후 04:39:23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