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 순서
1.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를 찾아서
2.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주이씨
3.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벽진이씨
4.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산성주배씨
5.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산이씨
6.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주도씨
7.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산여씨
8.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경산이씨
9. 또 하나의 성주 성씨, 가락김씨
성주군에는 현재 성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성씨들이 집성촌 마을을 형성하는 등 공동체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행정구역상 지금의 성주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모두 28성관(姓貫)에 달하며, 성주이씨, 벽진이씨, 성산성주배씨, 성산이씨, 성주도씨, 성산여씨, 경산이씨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제4회에서는 성주를 본관으로 둔 성씨 중 `성산성주배씨`에 대해 다뤄본다. 성산성주배씨의 기원 및 유래, 시조, 대표 인물 및 후손 등 각 문중 제반 사항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파악해본다. 또한 흥안재 등 성산성주배씨 관련 유적을 방문해 성산성주배씨의 발자취에 대해 되돌아본다. 나아가 각 문중 및 지역민들에게 충효사상 및 주인정신 등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배씨 시조는 신라의 모체인 6부촌장의 한 사람인 금산가리촌장 배지타이다. 배지타는 서라벌 6부촌장이 박혁거세를 신라 시조로 옹립해 신라개국좌명1등 총재태사로, 시호는 문양이며 배씨 성을 사성받은 득성 시조이다.
후손 배현경은 신숭겸·복지겸·홍유·유금필·최웅과 더불어 왕건을 고려 태조로 추대해 고려 개국 정사1등 원훈으로 서훈됐고, 시호는 무열이다. 서기 994년(고려 성종 13년) 태조묘에 배향됐으며, 평산 태백산성에 무열공을 쉬위로 4태사 철상을 봉안 제향했고 배시 중시조로 받들었다.
성산성주배씨 1세조는 고려 삼중대광 벽상공신 배위준이며, 현손 배인경은 고려 원종조에 출사해 학덕이 높아 충선왕 때 지추밀원사를 지냈으며, 4왕조에 걸쳐 봉직후 충숙왕 때 치사하니 흥안(현재 성주)부원군에 봉해진 연유로 관향을 성산성주로 삼았다.
배진손은 고려말 문과에 급제해 판공부사를 지냈으며, 조선 태조가 자헌대부 공조판서를 제수했으나, 불사이군 대의를 지켜 나아가지 않고 유도를 전가했다.
배극렴은 문과에 급제해 경상도 도순무사로 왜구를 토벌하고 이성계를 도와 조선개국 좌명1등 원훈에 서훈됐으며,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을 지냈다. 시호는 정절이며 성산백에 봉했다.
배극명은 고려 말 도총제를 지냈고 조선을 개국해 태조가 명신임을 알고 세차례나 불렀으나, 충신은 불사이군이라 하고
채미가를 지어 고향에 은거해 세인들은 삼은과 같다고 칭송했다.
배진손의 장남 배규는 고려 말에 등과해 사간원 대사간을 지냈으며, 양촌 권근과 도의 교우하며 학덕을 쌓아 세인들이 관서부자라 칭송했다. 차남 배구는 고려 말에 등과 서해도 안념사겸 쌍성도총관을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진수산에 은둔 해 불사이군의 대의를 지켰다. 삼남 배현은 성균진사에 합격해 성균관 학생들을 가르치며 효제충신의 모범이 됐다.
배대식 성주군종친회장은 "현재 관내에 거주하는 종친은 800여 가구 1천700여명 정도이며, 전국에는 18만여명의 종친들이 거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3년여에 걸친 흥안재 정비가 지난해 완료됐으며, 이달 4일에는 대구향교 유림관에서 경상우수사 배설 장군과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한 장편역사소설 `기적의 배 12척` 출판기념회가 개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주요파로는 △화당공파 △안념사공파 △진사공파 △정절공파 △미은공파가 있으며, 전국에는 20여개 지파가 산재하고 있다.
재사를 살펴보면 성주읍 경산리에 성산성주배씨의 요람인 흥안재가 있으며, 숭덕사에는 배위준과 배인경의 위패를 봉안 해 매년 5월 5일 향사를 올리고 있다. 경내에는 흥안부원군 유허비가 있다.
용암면 계상리의 모도재에서는 배진손과 아들인 배규, 배구, 배현의 학덕을 추모하고 매년 10월 2일 향사를 올리고 있다. 경내에는 배진손과 배규의 신도비가 있다.
성주읍 대황리에는 정절공 부조묘와 경절사 영모재 정절공 신도비가 있으며, 매년 9월 8일 향사를 올리고 있다.
대가면 도남리 도남재는 진사공파 후손들의 종당이며, 진사공 배현보사단비가 있다. 등암 영각에는 등암 배상룡 영정을 봉안, 매년 10월 6일에 향사를 올리고 있다. 숭조대에는 배덕문과 배설의 신도비를 포함한 3조 6현의 비석이 있고, 전인에는 괴재 배상호를 위한 전인재와 고촌 배정휘가 5형제의 우의를 돈독하게 하는 식호정이 있다.
대가면 옥련리의 모원재에서는 배윤의 학덕을 추모하고 있으며, 배위 정부인 수성라씨 정여각이 있다. 선남면 문방리 보본당은 좌사간 배한의 배위 화순최씨와 배윤의 묘제를 위한 재사이다.
대가면 옥화리에는 배이도와 배중상, 배적 등 3위를 모시는 재실인 낙유재가 있다.
선남면 명포리에는 참봉 배진기를 추모하는 경모재가 있으며, 수륜면 계정리에는 평암 배순상 학덕을 추모하는 평암정이 있고, 월항면 보암리에는 귀암 배근상을 추모하는 귀암재가 있다.
또 가천면 중산리에는 배상보를 추모하는 도산재가 있고, 용암면 중거리에는 배만평의 학덕을 추모하는 동산재가 있다.
한편 성산성주배씨는 성주를 본향으로 경북 김천·상주·고령·칠곡·청도와 대구·부산·서울시, 경남 진주·거창·함안·창녕·하동·통영, 충북 영동·괴산, 전북 무주·음성, 전남 순천·광양·구례·남원·고흥 등지에 분포·거주하고 있다.
취재1팀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