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재 순서 1.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를 찾아서 2.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주이씨 3.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벽진이씨 4.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산성주배씨 5.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산이씨 6.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주도씨 7.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성산여씨 8. 성주에 뿌리내린 성씨-경산이씨 9. 또 하나의 성주 성씨, 가락김씨 성주군에는 현재 성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성씨들이 집성촌 마을을 형성하는 등 성씨 중심의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행정구역상 지금의 성주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모두 28성관(姓貫)에 달하며, 성주이씨, 벽진이씨, 성산성주배씨, 성산이씨, 성주도씨, 성산여씨, 경산이씨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제5회에서는 성주를 본관으로 둔 성씨 중 `성산이씨`에 대해 다뤄본다. 성산이씨의 기원 및 유래, 시조, 대표 인물 및 후손 등 각 문중 제반 사항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파악해본다. 또한 한개마을 등 성산이씨 관련 유적을 방문해 성산이씨의 발자취에 대해 되돌아보고, 나아가 각 문중 및 지역민들에게 충효사상 및 주인정신 등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성산이씨의 시조는 고려의 개국 공신인 이능일이다. 이능일은 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의 인물로, 일찍이 왕의 부마가 됐다. 그는 고려와 후백제가 조물성에서 장기간에 걸친 큰 전쟁 당시, 지원 군대를 인솔해 고려를 도와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고려와 신라의 합병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등 후삼국 통일에도 이바지했다. 이에 고려 태조 왕건이 이능일을 개국 2등 공신에 책봉하고 그의 이름에 삼국통일을 상기하는 일(一)자를 넣게 했다는 일화가 있다. 삼국통일을 완성한 태조가 가리현(현재 고령군 성산면), 수동현(구미시 인동동), 계자현(칠곡군 약목면), 신안현(성주군), 도산현(성주군 가천면) 등 5현을 경산부로 통합하고, 이능일을 성산군으로 삼아 우리 지역을 다스리게 했다. 후세에 성주 사람들은 이능일을 신으로 받들어 그의 집터에 남아 있던 우물을 찾아 `이공신정`이라 이름을 붙이고, 성황사에 이능일의 화상을 모셔 놓고 복을 빌었다는 기록도 있다. 성산이씨는 고려시대에 개경의 귀족이 돼 여러 벼슬을 누려왔다. 이견수와 이직은 왕실의 제사를 담당한 태상부 경이었고, 이우당은 정당문학, 이영은 판도판서, 이익손은 전공판서, 이배는 예의판서을 역임했다. 조선시대에는 이항이 중종 때 형조, 이조, 예조,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우의정에 올랐으나, 기묘사화 이후의 혼란한 정국에서 대간들과의 불화로 사사되는 비운을 맞았다. 철종과 고종 시대의 이원조는 제주목사, 경주부윤, 대사간, 공조판서를 역임해 이름을 얻었고, 이진상은 한 평생 성리학 공부에 몰두해 85권의 방대한 저술을 남겨 근세 유학 3대가로 꼽히고 있다. 근대시대의 인물로는 국회의장을 8년간 역임한 이효상, 조계종 초대 총무원장이었던 청담스님, 대구대 총장을 지낸 이태영씨 등이 있다. 성산이씨는 고려 말에 이르러 △인주공파 △김산공파 △정언공파 △봉익공파 △기국공파 등으로 분파됐다. 오늘날의 성산이씨 후손들은 약 8만명 정도로 나타났고, 주로 경북 성주·고령·칠곡·의성군, 영천시와 대시 등에 많이 분포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성주군 봉산·용흥·한개마을, 고령군 관동 등은 성산이씨 집성촌으로 유명하다. 특히 성주 한개마을은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를 역임한 이우를 입향조로 해 지금까지 560여년을 내려오면서 마을의 전통을 잘 보존해,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아산 외암마을, 제주 성읍마을, 고성 왕곡마을에 이어 지난 2007년 전국에서 여섯 번째 중요민속마을로 지정됐다. 한개마을 내에는 9채의 개별 가옥이 지방 문화재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다. 그리고 관내 명승지로 유명한 포천계곡의 만귀정은 이원조가 벼슬을 마감하고 노년을 보내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이명식 성산이씨 대종회장은 "현재 관내에 거주하는 종친은 약 1만7천명으로, 김해김씨 다음으로 많은 인구 수"라고 말했다. 문중의 주요 추진 사업에 대해 이 회장은 "올해는 성주읍 소재 성산이씨 재실인 성산재를 성산서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자 한다. 약 660㎡ 규모의 성산재를 1년에 한두 번 제사만 지내고 문 닫아두는 건 아무 의미 없다고 생각한다"며 "서원으로 바꿔 종친들의 유교 경전·고전·예절 등의 강의를 통해 군민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고, 성산재를 더욱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특히 "서원으로 명칭을 변경하려면 기존 서원, 유림 등의 동의를 구해야 하는데, 현재 이 절차를 모두 마친 상황"이라며 "올해 안으로 성산서원 기념식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취재1팀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최종편집:2025-04-30 오후 04:39:23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