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원한다. 행복은 마음의 충족감에서 얻어진다. 행복은 복잡 다양한 일상생활을 얼마만큼 즐겁게 대처하고 욕심을 줄이고 보람을 느끼느냐에 달려있다. 모든 사람의 보람있는 행복한 삶을 위하여 삼락인생·삼락사회의 실현을 제창한다. 퇴직교육자 모임인 한국교육삼락회는 배우는 즐거음, 가르치는 즐거움, 봉사하는 즐거움을 3대 강령으로 하여 1만여명의 회원이 100여개의 전국 지회를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삼락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우리는 정년없는 평생교육자로서 지식과 경험을 사회와 후생을 위하여 쏟아 주기로 다짐하고 나섰다. 스스로 평생을 통하여 배우고 가르치고 봉사하던 노-하우를 가진 고급 전문가 집단인 우리 삼락회는 그 목표실현을 위한 몇 가지의 사업계획을 마련 추진중이다. 우리 노년세대가 할 수 있는 가장 의미있고 꼭 실현해야 할 덕목을 엄선하여 삼락의 강령을 구현하고자 모든교육자의 역량결집을 호소하는 바이다. 첫째, 교육삼락 포럼의 개설과 교육메세지의 발신이다. 평생교육시대의 평생학습자로서 새로운 지식·정보를 수용하기 위한 학습토론 광장인 교육삼락 포-럼은 처음으로 개설된 전·현직 교육자를 위한 새로운 학습장이며 사랑방 공론과 대 사회에 교육메세지를 발신하고 있다. 교육자의 정성과 지혜를 모아 겨레의 꿈을 가꾸는 구안지사의 역할을 다하자.(포럼은 매월 셋째주 월요일 하오 3시 세종문화회관 4층 컨퍼러스홀) 둘째, 회지발간과 인터넷 개설이다. 교육삼락회의 정보매체로서 교육삼락 회지를 발간하고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화원상호간, 전·현직간, 교육과 사회간의 연계적 교육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인터넷은 가정교육, 사회교육, 청소년교육의 일익을 담당할수 있는 삼락회교육활동에 가장 적합한 새로운 교육매체이기 때문이다. 인터넽을 통한 교육과 정보교환으로 모든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닥아서는 원로교사가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삼락회 師道大賞제도의 창설이다. 교육원로들의 모임으로서의 삼락회가 후배 교육자의 사기를 앙양하고 교육권위의 회복과 교육자 위상을 높히는 사회문화운동으로서 교육자에게 수여하는 가장 명예로운 삼락회 사도상 제도를 제정하여 시상키로 했다. 사도대상은 후배를 사랑하는 원로 선배들의 애정의 표상이기도 하다. 사도대상은 전국 경제인연합회와 언론기관의 후원을 얻어 매년 시상한다. 넷째, 家庭敎育機能의 회복운동을 전개한다. 취약해진 가정교육기능의 강화를 돕고자 家庭敎育讀本 간행과 家訓보급및 젊은 학부모연수를 시·군 당국의 협조하에 실시한다. 가정교육기능이 퇴화 되어 인성교육과 전통문화의 올바른 전승이 차질을 빚고 있다. 이 운동은 삼보컴퓨터의 지원아래 한국박약회와 협동하여 추진한다. 이연수는 사범교육을 철저히 받고 사도를 실천해 온 원로교육자가 21세기 교육에 접목해 주어야 할 전통가치 실현을 위한 마지막 선물이다. 다섯째, 敎育三樂會支援法 제정을 추진한다. 삼락회가 평생교육단체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교육삼락회 지원법 제정은 시급하다. 한 세기 동안 학교교육체제로 전개된 교육의 한계성과 문제가 심각해졌다. 이제 모든 법체제가 학교 교육제도 중심에서 평생교육제도중심으로 이행하는 법체제로 개선 정비 할 단계에 도달하였음을 간과 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전 생애동안 교수·학습기능을 감당할 수 있도록 삼락회에 시설, 예산, 행정협조, 프로그램개발 등을 조성할 수 있는 지원법의 제정이 빠를수록 선진사회실현의 지름길이 되는 것이다. 여섯째, 교육삼락회 平生敎育會館 건립을 추진한다. 40만 교육자가 평생을 바쳐 정성을 다 바쳐 제자를 가르치고 퇴직하여도 쉴 의자 하나 없고 친목할 회관은 물론 평생교육의 센터 역할을 할 교육관 하나가 아직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참으로 깨어있는 통치권자 경륜 있는 지도자가 없음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이일은 교육계가 명예를 걸고 실현시켜야한다. 이 세상에서 교육삼락회가 존재해야 할 기본적 역할과 책무과제를 선정 적시하였다. 이 외에도 일생동안 오손과 신세만 저온 지구환경에 대한 자연보호 운동도 조금은 되 갚아주고 가야할 책무의 하나이다. 배우고 가르치고 봉사하는 것처럼 아름다운 덕목은 없다. 이것이 선비들의 위기지학(爲己之學)의 본원이다. 이상적 합리사회로 가는 學習社會의 실현은 모든 시민이 三樂人生을 사는 三樂社會가 될 때 비로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최종편집:2025-05-15 오후 02:50:30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