守錢虜는 글자의 뜻 그대로 「돈 지키는 종(奴)」이라는 뜻으로 돈을 모을 줄만 알고 쓸 줄은 모르는 사람을 빗대어 일컫는 말이다.〔後漢書 馬援傳〕 後漢 光武帝때의 사람인 馬援이 어려서부터 이상이 크고 활달하여 형들의 총애를 받았으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서 자신의 抱負를 펼 계기를 잡기가 어려울 것을 염려하고 兄인 況의 곁을 떠나 국경멀리에 가서 畜産업에 종사해 보고 싶다고 말하였다. 이 말을 듣고 형 황이 말하기를 『너는 오랜 세월 노력하여 勸苦를 쌓으면 마침내 뜻을 일어 큰 인물이 될 것이니, 우수한 사람은 경솔하게 자기의 능력을 들어내지 않는 것이니 이 점을 각별히 유의하고 네 생각대로 하라』고 허락하였다. 그러나 마원이 집 떠날 준비를 하던 중에 형 況이 죽자, 이 계획을 중지하고 형의 무덤 곁에서 期年服을 입고 형수를 어머니처럼 받들었으며 언제 正裝을 하고서야 그 형수를 대하였다. 얼마 후에 마원이 郡의 督郵가 되었고 어느 날 罪囚를 호송하여 司命附로 가던 중 그 죄인이 정치적으로 억울하게 중죄를 뒤집어쓰고 있음을 알고 풀어주어 도망가게 하고는 자신도 制服을 벗어 던지고 북방 국경지대로 가서 본래 하려고 하였던 농축업을 시작하였다. 그 후 몇 년을 지내자 勸苦의 보람으로 나날이 번창하여 소, 말, 양 등이 수천 마리가 되었고 겸하여 糧穀 수 10만 섬을 비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근의 이사들이 마원을 찾아와 親交맺기를 원하고 草野에 묻힌 國士라는 소문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어느 날 마원이 찾아온 사람들에게 『장부의 품은 뜻은 궁할수록 더 굳어지는 것이며, 쌓을수록 더욱 더 장대하여진다』고 말하고 『내가 農作과 牧畜으로 이만한 富를 이룬 것은 일신의 향락이나 안일을 위해서가 아니다. 富를 이루고도 이웃을 외면한다면 이는 한갓 守錢虜임을 면하지 못할 것이니, 이제부터는 어려운 이웃에 救護를 할 것이다』라고 선언하고 생활이 어려운 兄들과 이웃, 그리고 가난한 친구들에게 아낌없이 나누어주었다.(馬援有牛馬羊數千頭, 穀數萬斛曰, 殖貨財, 貴能施賑, 否則守錢虜耳) 守錢虜는 바로 이에서 由來되었으며 재물에 인색하여 모을 줄만 알고 쓸 줄을 모르는 구두쇠란 말이다. 王莽의 말엽에 사방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마원은 西州  의 초빙으로 綵德將軍이 되어 국가 기획에 참여하였고, 光武帝(劉秀)가 漢나라를 중흥할 때 그를 도와 異民族 정벌에 몸바쳐 공을 세우고 後漢의 國基를 튼튼히 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男兒는 으레 황량한 國境에서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가 죽어 그 시체가 말가죽에 싸여 돌아와 장사 지내도록 되어야지, 어찌 한가로이 집에 누어 兒女子의 간호를 받으며 죽기를 바랄 것인가』하였고, 『다른 사람의 단점을 듣고 부모의 이름을 들은 것 같이 하여 귀로는 들을지언정 입으로는 말하지 말고, 남의 시비와 선악을 입에 오르내리기 좋아하고 政治나 法制度를 비방하기 좋아하는 무리를 나는 싫어하며, 자손들의 혹여 이런 행동을 하는 자가 있다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다』라고 한말이 있어 참고로 기록하여 본다.
최종편집:2025-07-09 오후 05:43:0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