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지역의 산업화에 비해 성주군은 안타깝게도 농업지역으로 남아있다. 또 향후 산업화의 전망도 썩 밝다고 보기 어렵다. 산업화에 비해 여러 가지 불리한 점이 있지만 뒤집어 보면 청정 이미지와 농업환경을 적절히 활용해 매우 의미 있는 지역특성화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지역특성화에는 여러 가지 구상이 가능하지만 특히 농업은 생명산업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생산되는 모든 농산물은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며, 따라서 ‘좋은 먹거리’는 인간 최대의 관심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소득이 높을 수 록 그 관심의 정도는 더욱 심해진다고 한다. 지구촌, ‘좋은 먹거리’생산 열기 고조 그렇다면 인간의 삶과 뗄 레야 뗄 수 없는 ‘좋은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한 최상의 방법은 무엇일까. 두말할 것도 없이 ‘친환경농업’이 그 해법이다. 한마디로 농약·화학비료 등을 완전 퇴출시키고 천연재료만을 사용해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맑은 물과 천연재료로 땅심을 높여 무공해 농산물을 생산하고, 가축에게 무공해 농산물을 먹인 뒤 그 배설물로 농사를 짓는 선(善)순환시스템 구축이 절대적 선결 요건이다. 郡에서도 이를 일찍 간파하고 ‘친환경농업’ 육성에 애를 쓰고 있으나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우선 농민들의 인식이 부족해 참여농가가 적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화, 판매망 구축, 농가지원 대책 등 해결해야할 난제들을 고려할 때 기반조성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다 보니 염류집적으로 땅심이 고갈돼 성장장애를 겪게 되고 병충해가 다발해 더 많은 화학비료와 농약이 투여됨으로써 농비는 상승하고 소득은 감소하는 현상이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또 가축들은 숨도 쉬기 어려운 사육틀에 갇혀 항생제 없이는 도저히 사육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FTA 등 농산물 개방에 따른 대응책에 고심하고 있지만 이래서는 살아남기 어렵다. 또 지역특성화하고도 거리가 멀다. 이미 선진국은 친환경농산물의 재배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일괄 지원시스템을 갖추고 ‘가축 복지법’ 등을 만들어 앞서가고 있다. EU가 FTA 협상과정에서 사육틀을 이용한 양축을 법으로 금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는 항암제 덩어리를 먹지 않겠다는 것이고 그 이면에는 우리의 낙후된 시설 개선과 양축시스템 구축에 투입될 엄청난 시간과 비용 때문에 쉽지 않으리라 보고 득을 보자는 심산일 게다. 지역특성화 호기…기반조성 시급해 국내에서도 이를 간파하고 소위 ‘생명환경농업’기반 구축에 올인(다 걸기)하겠다는 자치단체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우리도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 마침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유치와 가축분뇨처리시설을 추진하고 있는 터라 이와 연계하면 속도를 낼 수 있다. 우선 전 지역을 친환경농업지역으로 선포하고 종합적인 추진계획을 마련해 단계적, 체계적인 기반조성에 착수해야 한다. 또 행정과 농민, 관련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추진단을 구성해 농민들의 인식전환과 함께 참여폭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사업예산을 확보하는 한편 현재의 농업관련 예산을 친환경농업 육성에 집중 투자하고, 활성화 대책들을 창안해 이를 조례로 제정하는 등 여건을 보장해야 한다. 농협을 비롯한 관련단체에서도 저렴한 친환경농자재를 보급하고 농가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유통체계를 구축하여 생산물 전량을 책임지고 판매해 줌으로써 농가에서 안심하고 ‘좋은 먹거리’ 생산에 전념할 수 있는 길을 터 주어야 할 것이다. 선진국의 농업행정을 과감히 도입하는 것도 한가지 좋은 대안이다. 필요하면 젊고 유능한 관계자들을 뉴질랜드, 일본, 덴마크 등에 파견해 선진농업을 체험하고 이를 접목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친환경농업으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대세다. 우리 지역의 청정 이미지와 조화된 농업 입지를 굳건히 한다면 치열한 경쟁구도 하에서도 밝은 미래를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은 1,000㎡∼1,500㎡(3백∼5백평)의 유기농으로 한가족이 남부럽지 않은 삶을 영위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에게도 조만간 그런 날이 올 것이다.
최종편집:2024-05-14 오전 10:00:12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