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지붕 아래 제비집 너무도 작아 갓 태어난 새끼들만으로 가득 차고 어미는 둥지를 날개로 덮은 채 간신히 잠들었습니다 바로 그 옆에 누가 박아놓았을까요, 못 하나 그 못 아니었다면 아비는 어디서 밤을 지냈을까요 못 위에 앉아 밤새 꾸벅거리는 제비를 눈이 뜨겁도록 올려다봅니다 종암동 버스정류장, 흙바람은 불어오고 한 사내가 아이 셋을 데리고 마중 나온 모습 수많은 버스를 보내고 나서야 피곤에 지친 한 여자가 내리고, 그 창백함 때문에 반쪽 난 달빛은 또 얼마나 창백했던가요 아이들은 달려가 엄마의 옷자락을 잡고 제자리에 선 채 달빛을 좀더 바라보던 사내의, 그 마음을 오늘밤은 알 것도 같습니다 실업의 호주머니에서 만져지던 때묻은 호두알은 쉽게 깨어지지 않고 그럴듯한 집 한 채 짓는 대신 못 하나 위에서 견디는 것으로 살아온 아비, 거리에선 아직도 흙바람이 불어오나봐요 돌아오는 길 희미한 달빛은 그런대로 식구들이 손잡은 그림자를 만들어주기도 했지만 그러기엔 골목이 너무 좁았고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그 꾸벅거림을 기억나게 하는 못 하나, 그 위의 잠 ------------------------------------ 세상의 ‘아버지’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것은 아이엠에프 이후일 것이다. , 같은 소설들이 아버지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는데, 이 작품들이 아버지도 일만 하는 슈퍼맨이 아니라 평범한 생활인이고, 가족 모르게 많은 고민을 삭이며 살아가는 존재란 것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에 많은 파문을 던졌다. 이 시는 제비집이 비좁아서 아비 제비가 깃들일 자리가 없어서 그 곁에 누가 박아놓은 못 위에서 잠을 자고 있는 아비 제비의 모습을, 종암동 부근에서 실업자로 살아가는 아버지와 그 아이들이, 밤늦게 일터에서 돌아오는 창백한 어머니를 정류장에 마중나와 함께 손잡고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감동적으로 그렸다. 아버지는 골목이 좁아서 한 걸음 처져서 걸어가고 있었고, 그 모습이 못 위에서 잠을 자야 하는 아비 제비를 떠올리게 하고 있다. 시가 감동적인 것은 이렇게 따뜻한 삶의 메시지를 우리에게 던져줄 때이다. 세상의 아버지와, 서로가 언덕이 되어 살아가는 따뜻한 행복을 꿈꾸는 가족들은 이 시를 읽어야 한다! 배창환(시인 ∙ 성주문학회)
최종편집:2025-05-15 오후 05:36:24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