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총선 결과 친박계 무소속 이인기 국회의원이 당선되자 단체장과 기초의원들이 향후 진로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이들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이 의원의 지원 하에 모두 한나라당 공천을 받고 출마해 당선된 바 있으며, 총선 정국 초반 이 후보가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해 무소속으로 출마할 것을 밝히자 일부는 한나라당 당적을 유지한 반면, 많은 기초의원들은 탈당해 이 의원의 정치적 궤에 합류했다.
친박연대 후보들은 박근혜 돌풍에 힘입어 대거 당선되었으며, 캐스팅보트 역할이 분명해지자 이들이 ‘살아서 돌아가겠다’고 천명한 것처럼 복당 문제가 가시화되고 있다. 겨우 과반에 턱걸이한 한나라당의 입장에서 보면 어떤 형태로든 무소속 의원들의 영입은 거의 확실한 것으로 보여지며 변수 또한 만만치 않다.
이에 따라 당 잔류파나 탈당한 이들 모두 이 의원의 복당 여부에 따라 일어날 후폭풍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적유지, 탈당으로 선거후유증에 시달려
정당 공천이 낳은 폐단…군민이 평가해야
이 의원의 복당이 결정되면 당 잔류파들은 박힌 미운 털 뽑기가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한나라당이 전통적 강세를 보이고 있는 지역 정서를 고려하면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구도 하에 공천을 선물했는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가 일시 흔들리는 판에 의리를 져버렸으니 서운함과 괘씸함이 크게 작용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다음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질 경우 공천여부는 지역구 현역의원의 절대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고 그 역할은 고스란히 이 의원의 몫이다. 하기에 잔류파가 공천을 기대하기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워 질 것이다. 당에 잔류했던 이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반면 탈당했던 기초의원들은 입이 함지박만큼 될 것이다. 통상 지역구 당원영입 여부는 지구당위원장의 권한이다. 이 의원의 이들에 대한 애정이야 이루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깊고 넓을 것이므로 자연스레 복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해득실에 따라 뿌리 자체를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소위 ‘철새족’이 되어 주민들의 따가운 눈총은 외면할 수 없으리라.
하지만 거론되고 있는 바와 같이 친박 당선인들이 별도의 교섭단체로 탄생되거나 복당이 거부될 경우 입장이 뒤바뀔 공산이 크다. 한마디로 당 잔류파들은 충신이 되고 탈당파들은 배신자가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복당은 물거품이 되어 차기 지방선거에서 정당 프리미엄을 기대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어쩌면 차기선거에서 한나라당 당세와 박근혜 정서가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게 돼 선거가 축제는커녕 이전투구의 아수라장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탈당파 의원들이 나라님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를 면치 못할 수도 있으니 맘이 편치만은 않으리라.
국회의원 선거 불똥이 애꿎은 기초단체장 및 의원에게 튄 것은 이들의 공천제도에 큰 허점이 있기 때문이다. 지역발전을 위해 불철주야 헌신해도 모자랄 판에 선거후유증으로 거취문제를 두고 시간과 노력을 낭비해야 하다니 이 무슨 해괴한 현상인가. 자의에 의해 당적을 지켰거나, 보은의 의미에서 국회의원 만들기에 공헌하고도 그것에 발목이 잡혀 고민을 거듭해야 하다니 그들이 무슨 죄인인가.
‘답답한 자가 샘 판다’고 그 목숨 줄(공천)이 국회의원에 달려있으니 줄서기, 눈치보기 등 온갖 잡스런 모양새가 연출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이다. 국회의원은 주어지는 특권이 부족해서, 아니면 권세 자랑하기 위해 이 같은 잘못을 외면하고 있는가. 온 나라를 잡스런 정치판으로 내몰아 국가 미래가 잘될 턱이 없다.
기초단체장 및 의원들은 지역민들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그 성과로 평가받아야 한다. 지금과 같은 정치풍토에서는 기초의원 정당공천제는 폐지되어야 함이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