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부와 명예를 향하여 앞만 보고 달리는 브레이크 없는 질주를 하고 있다. 이 와중에 옆은 둘아 보지 않아 누군가 다치든 죽든 상관하지 않으며 더군다나 앞을 가로막으면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나의 질주를 방해하면 같이 죽자고 폭발하는 기이한 현상은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고 이 사회는 고도의 과학 문명과 화려함 뒤에서 서서히 병들어 가고 있다. 속이 썩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속에서 행복은 점점 멀어지고 나누고 서로를 배려하는 예의와 염치의 도덕은 무너져내려 지옥의 생활이 되어지고 있다.
이 모든 문제의 근본 해결책의 시작은 각자 개인이 변해야 한다. 브레이크 없는 질주 기관차에 브레이크를 고치고 속도를 늦추어 주위 풍경이 얼마나 아름답고 은혜로운지 느낄 수 있는 여유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주위의 차들에게도 양보하며 먼저 가도록 손을 한번 흔들어 주어 보라. 살짝 웃음을 건네는 여유 속에서 행복이 묻어 나는 것임을 우리는 깨닫게 될 것이다.
결코 행복은 멀리 있지 않으며 나 혼자 배부르다고 행복해 하는 삶은 개나 돼지나 느끼는 행복일 것이다. 우리는 작은 콩 한 조각 나누어 먹는 속에 행복이 있고 더 나아가 인류가 내 가족처럼 느껴질 때 서로 쳐다보기만 하여도 행복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행복감은 내 마음을 어떻게 공부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내 마음 하나만 바꾸면 그 속에 나의 행복이 있고 인류의 행복이 있는 것이다. 그러면 마음 공부는 어떻게 하여야 할까?
1. 먼저 마음이 어떻게 생긴 것인지 알아야 한다.
마음이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 아니면 화내는 마음이 내 마음인지 기뻐하는 마음이 내 마음인지? 마음의 실체를 알아야 한다. 문)파도가 있는 것인가? 바람이 자면 파도는 어디에 있는가?
2. 본래의 내 마음을 찾는다.
하루에도 수천 번씩 변하는 마음은 본래 내 마음이 아니다. 본래 내 마음은 무엇인가? 한 생각 내기 전에 내 마음을 맛 보라! 또 꿈도 없이 잠잘 때 여러분의 마음은 어디에 있는가?
3. 다음은 내 마음이 가는 곳을 계속 지켜 보라.
수 천 번씩 변하는 내 마음을 계속 챙겨라! 마음은 작용하는 곳에 있다. 내 마음이 돈으로 가는지 코로 가는지 자동차로 가는지 아리따운 여성에게로 가는지...( 주의 : 정신 이상이 올 수 있음 ) 지도가 꼭 필요한 이유이다.
4. 이 공부가 순숙 되면 마음이 마음대로 나가지 못하게 꼭 붙잡아 두라.
마음 공부에서 제일 힘든 과정이다. 소를 길들일 때 말목에 매어 두듯이 절대로 놓아주면 안 된다. 하는 일마다 일심으로 하라 일이 마음공부가 된다. 이때는 마음공부가 괴롭게 느껴질 수도 있다. 당연한 것이다. 힘들게 정상을 향해 도전하는 자 만이 산 정상에서 세상을 내려다볼 수 있다. 그 희열은 고생한 사람만이 그 고생한 만큼의 배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경계를 알아 차려라.
꼭 붙잡아 길들었는지 안 들었는지 알려면 주위 보리밭에 소를 놓아 주어 보라. 보리밭은 경계를 말한다. 또한 경계와 고통은 이쯤 되면 마음 공부인에게는 공부 표준을 알아보는 좋은 잦대가 된다. 일반인들에게는 고통이지만 공부인들은 경계가 오면 내가 공부할 기회가 왔다고 생각한다.
6. 마음을 놓아 주라.
길이 잘든 마음은 아무 곡식도 범하지 않을 것이요 길이 덜든 마음은 또다시 아무 곡식이나 범하고 날뛸 것이다. 길이 안 들었으면 대답은 하나다. 다시 묶어라. 경계에 같이 넘어가지 않을 정도 은산 철벽같은 굳은 마음은 어떠한 어려움도 이겨낸다.
7. 내 마음을 내 마음대로….
이쯤 되면 마음공부의 정상에 다다른다. 그동안 경계 따라 환경 따라 처지 따라 달라지든 내 마음은 내가 하고자 하는 대로 하게된다. 불의에 물들지 않으며, 욕심에 끌리지 않으며, 고통에 괴로워하지 않으며 항상 편안하다. 마음속에서 알 수 없는 대자유의 물결이 요동치고 희열이 솟아나고 행복이 가득하게 될 것이다.
대하는 모든 이가 사랑스럽고 내가 하는 모든 일이 내 마음먹은 대로 풀리기 시작할 것이다. 고통과 괴로움은 사라지고 항상 은혜와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세상이 여러분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 마음하나 공부했을 뿐인데….
이것이 끝은 아니지만 이 정도 경지까지만 소개를 하고자 한다. 이처럼 마음공부는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정말 중요한 공부이다.
빨간 색안경을 끼고 세상을 보면 온 세상이 모두 빨간색으로 보이듯이 우리 마음은 이 세상을 어떤 색깔로든 만들 수 있는 마술 여의주와도 같다. 마음 공부를 하고 이 세상을 보라 진정한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를 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