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운송사업은 그렇지 않아도 한계상황이라는 인식이 업계 내외의 공통된 견해다. 과잉공급에 대중교통 확충에 따든 수요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다.
이 와중에 들이닥친 고유가 상황은 가뜩이나 어려운 업계에 운송원가의 빠른 상승이라는 악재로 치명적 충격을 주고 있다. 실제 지난 1년 간 LPG 가격은 무려 36.5%가 올랐다. L당 232.43원이 올라 연료비 추가 부담이 한 달에 30만원이 넘어서고 있다.
유류가 사업의 젖줄인 운수업계는 유가인상에 가장 민감한 업종 중 하나라 할 수 있고, 실제 최근 유가인상은 운수업을 깊은 수렁으로 몰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운수업의 생존을 위한 직접적인 대응방안은 무엇일까? 역시 기름값 안정 이외의 다른 대안이 없다. 국제시장에서의 원유가 인상을 ‘무슨 수로 당해 낼 것인가’라는 반문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정부가 최소한의 공적기능을 위한 비용부담은 맡아 줘야 한다. 즉 사업용 자동차의 연료에 한해 면세유를 공급하자는 것이다.
운수업이 공익사업으로 인정된다면 요금인상만 억제할 것이 아니라 최소한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도 뒤따라야 하며, 그 수단으로 유류에 대한 세금면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운수업계에 드리운 암울한 그림자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서는 업계의 면세유 공급 요구를 정부가 전향적으로 적극 수용하길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