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 14개 기관단체장으로 구성된 성주군치안협의회(회장 이창우)는 지난달 25일 성주경찰서에서 제2차 정례회의를 열고 법질서확립을 위한 다양한 현안들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3월 13일 치안협의회와 산하조직으로 치안실무협의회 발족 이후 기관단체별 주요추진사항 및 예정사항 발표와 현안문제 토의가 이어졌다.
주요추진사항 및 예정사항 발표에서 성주군은 성산로 양방향에 노상주차장 73면을 설치한데 이어 중앙로와 본피로에는 유로노상주차장을 설치하지 않은 대신 경산사거리, 종로사거리, 대명철공소 부근에 불법주·정차단속용 CCTV를 설치(설치비 1억2천만원)하고, 현 테니스장에 13∼15억원을 들여 150면 정도의 자주식 공영주차장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현재 테니스장은 성주농공단지로 주변으로 이전을 추진 중에 있다)
성주경찰서는 청소년 안전을 위해 19개소의 ‘아동 안전지킴이 집’지정 및 운영, 30여명의 포순이 어미니들로 구성된 ‘자녀안전귀가 지킴이’등을 발대하고 현장중심의 치안활동 강화, 120건의 민생침해 강·절도 및 사기범 검거, 980여건에 달하는 교통사고유발요인 단속, 교통사망사고 줄이기 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특히 청소년 범죄예방을 위해 풍속업주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자정을 권유하는 한편 유해풍속영업소 지도·단속을 포함 절도, 도박, 공무방해, 사기 등의 예방 및 검거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기관에서는 학교폭력예방 및 성교육, 금연, 생활안전 및 민주시민의식 함양 등에 초점을, 소방서는 안전마을 만들기, 산악등반사고 예방 119표지판 설치, 하절기 119시민수상구조대 운용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의에서는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아 매립량 증가는 물론 침출수와 유해 해충 및 악취 등이 발생해 환경오염은 물론 장차 소각장 설치시 완전소각이 어렵고 다이옥신 유출로 주민저항이 우려되므로 분리배출을 위한 대책 마련과, 중앙로에 유료노상주차장을 설치하지 않은 대신 현행 교통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 필요하며, 많은 돈을 들여 주차장을 건립하기보다 읍 외곽지역 충분한 주차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구석진 곳에서 자행되고 있는 청소년 음주, 흡연행위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지도방안을 강구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스카우트제도 등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기했으며, 상가에서 대로변 노상을 점거하는 행위는 원할한 소통에 지장을 주므로 적절한 차단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창우 협의회장은 “법질서확립은 경찰을 주축으로 관계기관이 잘 협조해야 정착할 수 있다”며 “자기욕구를 앞세우고, ‘나 하나쯤이야’라는 안일한 생각이 범법과 불법을 초래하는 만큼 군민인식 변화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에 못지 않게 관계기관의 협조와 끈질긴 지도 단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협의회 간사인 김항곤 경찰서장은 “새정부가 출범하면서 법질서확립을 천명하고 이의 실천에 나섰으나 최근 촛불집회에서 보듯이 공권력의 무용론에 직면하는 등 난항을 거듭하고 있어 경찰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고 “부임 초 지역치안유지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한 결과 사망사고와 음주운전이 줄어드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아직도 할 일이 많은 만큼 최선을 다해 본연의 임무수행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그는 “청소년 상대 불법행위는 강력하고도 철저하게 엄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