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에서는 금년도 벼농사가 전반적인 생육상태는 양호하나, 여름 장마철과 태풍 폭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종 농업시설물의 안전한 관리와 병해충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니 농작물 관리 및 병해충 방제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벼, 밭작물, 시설채소, 과수 등 분야별로 대책을 마련하고 태풍대비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관리요령 홍보와 현장지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벼 재배농가에서는 일찍 심어 이삭이 팰 때가 된 조생종 벼는 물을 가장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충분이 물을 대주고, 특히 호우로 무너진 논두렁은 갈개를 설치해 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헛새끼치는 시기에 있는 벼는 강하게 중간물떼기를 해 참새끼 비율을 높이고, 벼 뿌리가 깊게 뻗도록 하여 도복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또한 논두렁, 제방 등을 점검해 무너질 우려가 있는 곳은 보수하고, 침수가 우려되는 논은 물꼬를 낮게 조정해 준다. 배수로의 잡초를 제거해 물 빠짐이 원활하게 하고, 참외 등 시설채소는 비닐하우스가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끈으로 단단히 고정시키고 배수로를 깊이 파 침수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태풍, 집중호우, 폭염으로 인한 가축, 농작물 등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재해위험성이 있는 축사나 농업창고, 비닐하우스 등 농업시설물을 미리 점검, 보수해야 한다.
아울러 병해충방제에서 벼잎도열병에 약한 품종이 집단 재배되는 지역과 상습 발생지에서는 병발생 초기에 침투이행성 약제로 서둘러 방제하며,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일찍 모내기하여 가지가 많이 벌고 생육이 좋은 포장을 중심으로 병발생 초기에 방제하고, 참외·과수 등 농작물에서도 태풍이 오기 전에 예방위주로 방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