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사랑상품권’제도가 시행한지 3년 가까이 접어들면서 정착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상품권제도는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2006년 1월부터 시행한 제도로 첫해 약 9억9천만원에 불과했던 판매액이 작년에는 15억6천여만원으로 50% 이상 신장세를 보였고, 금년에는 6월말 현재 벌써 11억5천여만원의 판매실적을 보이고 있다.
판매액이 급격한 신장세를 보인 것은 2007년부터 상품권 유통활성화를 위해 사용자에게 3% 인센티브제를 시행한 것에 힘입은 바 크다. 즉 100만원 어치 상품권을 구입할 경우 郡 예산으로 3만원을 보조해 사용자는 97만원을 지불하고 100만원의 상품권을 갖게되는 할인제도 시행과 함께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공직자, 기업, 사회단체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가맹점을 늘리고 할인을 유도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일부 가맹점에서는 상품권 거래시 5% 이상 상품가격을 할인해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활발한 거래에 의해 상품권이 바닥나자 군에서는 5천800만원의 비용을 들여 1만원권 상품권 30만장(30억원)을 재차 발행한다. 3%할인제도에 따른 보조금으로 5천400만원의 예산이 지원될 예정이다.
그러나 ‘성주사랑상품권’제도가 정착단계에 진입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일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난 11일 군의회 148회 정례회 군정질의에서 정영길 의원은 ‘3% 인센티브를 악용하는 사례가 있는 만큼 인센티브제를 없애고 가맹점 지정 없이 지역상가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 의원이 제기한 것은 일부 개인이나 가맹점에서 3%의 차익을 노려 대량 구매 후 즉시 현금화하는 사례와 가맹점이 아닌 상가를 이용할 경우 초래되는 불편, 성주에 연고가 있는 타지방 업체 이용, 가맹점에서 상품권을 준비해 놓고 현금으로 물품을 구매하며 할인을 요구하는 이용자에게 상품권을 이용해 구매한 것처럼 가장하는 편법,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세간의 소문들을 반증하는 요구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자체 유통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일부 차익을 노린 편법 거래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런 우려보다는 지역 내 소비진작과 자금의 역외유출 방지 등으로 지역경제활성화의 기여 효과가 훨씬 더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앞으로 가맹점 가입 확대, 1인 구매한도 설정, 대량구매자 인적사항 및 구입사유 파악 등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