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진 상공에서 터지는 공중폭발탄을 발사할 수 있는 ‘차기 복합형소총’이 내년부터 야전부대에 실전 배치된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006년 10월 제작된 차기소총 시제품을 작년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유효사거리와 폭발탄 성능 등 47개 항목에 걸쳐 운용시험 평가한 결과 전투용으로 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렸다고 28일 밝혔다.
차기소총은 개발비 185억원이 투입돼 2000년 4월에 착수됐다. 전투용 적합판정이 나옴에 따라 차기소총은 초도양산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부터 야전부대에 배치된다.
차기소총은 기존 소총에 사용되는 구경 5.56mm탄환은 물론 구경 20mm 공중폭발탄도 하나의 방아쇠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이중 총열 구조로 고안돼 복합형 소총으로 불리고 있다.
특히 사격통제장치는 열상검출기에 의한 표적탐지 및 레이저 거리측정, 탄도계산을 통해 조준점이 자동으로 유도됨으로써 주야간 정밀사격이 가능하다. 차기소총을 휴대한 병사가 적 병사들이 숨어 있는 곳을 겨냥해 소총에 달린 레이저거리측정기를 이용 레이저빔을 발사하면 복합광학계산기가 거리를 자동 계산해 조준점을 화면에 표시해 준다는 것이다.
20mm 공중폭발탄의 경우 표적의 3∼4m 상공에서 탄을 폭발시켜 파편으로 밀집된 병력이나 은폐·엄폐된 표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다. 또 시가지전투에서는 공중폭발탄이 건물 안으로 뚫고 들어가 내부에서 폭발하도록 고안돼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차기소총의 중량은 6.1kg, 길이는 860mm다. 주야간 조준경 배율은 2배이며, 탄환이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한 뒤 폭발하도록 유도하는 ‘회전수 계수형 신관’ 기술이 적용됐다. 유효사거리는 460∼500mm이며 대당 가격은 1600만원이다.
軍은 미래병사들이 착용하거나 소지할 통합헬멧과 지휘체계용 컴퓨터를 이 소총과 연결해 미래전장에 대비한 개인전투체계의 기본화기로 사용할 계획이다.
자료제공 국방과학연구소(A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