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도청이전 진상조사특별위원회(위원장 황상조·이하 도청특위)가 18일 ‘도청이전 후보지 평가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의혹 등에 대해 중대한 문제점이 없었다`는 내용의 조사보고서를 채택하고 4개월 여의 활동을 마무리했다.
특위 보고서에는 ▷평가단 그룹별 채점표 편차 ▷과열지역에 대한 감점 미적용 및 변호사 자문 배경 ▷평가기준의 문제점 등 탈락지역에서 제기했던 9가지 의혹 중 대부분 중대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또 그룹별 평가 편차에 대해서도 조작이나 누락 등이 발견되지 않았고 회의록과 녹취록 일치 여부 역시 누락되거나 오류가 있었지만 후보지 결정에 영향을 미칠 사항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감점 미적용 사항을 추진위의 의결을 거치지 않고 시행한 점과 신청지역 출신 간사 미교체 등 일부 적절치 못한 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조사보고서는 24일 임시회 본회의에 상정되어 채택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며, 조사보고서가 본회를 통과하면 경북도가 도청소재지 주소지변경을 위한 조례안을 제출하게 되고 이로써 탈락지역 반발로 중단됐던 도청 이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특위 위원으로 참여했던 박기진 도의원은 조사내용 중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평가점수, 감점 미적용, 간사교체와 관련한 항목에서 큰 활약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은 이번 진상조사 건이 도청이전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매우 민감하고 첨예하게 대립되는 지역여론에 대한 조사여서 지난 2000년 ‘양민학살진상규명특별위원회’나 타 시도에서 시행한 특위와는 차원이 다르므로 특위 참여가 본인의 경력관리나 선거구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조사과정에서 지역 간 첨예한 대립에 따른 비난과 갈등에 휩싸일 위험이 커 이를 고사할 수 도 있었으나 도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당당하게 참여했다고 한다.
박 의원은 조사과정에서 개인사생활보호 등의 이유로 자료가 제출되지 않아 특위가 중단되는 등 많은 우여곡절을 겪는 과정에서도 집행부와 의회가 상생할 수 있는 순리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등 결정적인 순간마다 해결책을 제시하여 특위가 원만히 마무리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박 의원의 온화한 성품과 행정경험이 유용하게 작용한 것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박 의원은 “이번 조사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고민하고 또 조사활동 때문에 지역행사에 많이 참여하지 못하는 등 도의원의 입장에서는 부담이 컸으나 300만 도민의 최대 관심사인 진상조사를 함에 있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조사에 임했으며, 행정사무조사가 수사권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등의 한계로 인해 제기된 모든 의혹을 해소하지는 못하였으나 권한의 범위 내에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