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전횡’반발, 주민‘획기적 조치’환영
외지에 주소를 두었거나, 주소는 관내에 두고 외지에 거주하는 공무원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이창우 군수가 지난 3일 정례조회에서 “담당 이상은 오는 15일까지, 나머지 직원들은 이달말까지 주소와 거주지를 관내로 옮겨라. 이를 지키지 않는 경우 표창추천, 모범공무원 선정 등 인사 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기 때문이다.
이 군수가 이같은 특단의 조치를 결정한데는 많은 공무원들의 외지 거주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무마하고 최근 더욱 어려워지는 지역경제의 돌파구 마련을 위한 고육책으로 보인다. 이점은 “공무원들의 외지 거주는 지역여론이나 동향 파악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군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이 군수의 의중에서도 엿볼 수 있다.
또 이번 조치는 말만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구두 지시에 그치지 않고 실과소장 및 읍면장에게 실거주지 주소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10일까지 제출하라는 내부문건을 하달하는 등 이전과는 확실히 다른 발빠른 행보와 이행을 촉구하는 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공무원 사회는 술렁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올 것이 왔다”며 수긍하는가 하면 “개인 사정을 무시한 단체장의 전횡”이라는 반발도 만만치 않다. “타지 거주 공무원에 대한 불이익을 주겠다며 관내로 옮길 것을 종용하는 사례는 예전부터 있어 왔지만 이번에는 강도가 다르다”며 주소와 거주지를 옮길 계획임을 밝히는가 하면, “중·고교에 재학 중인 애들을 생각하면 이사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개인사정은 고려치 않고 지역경제 활성화란 명목으로 무조건 이사를 강요하는 것은 전횡이자 폭거”라고 비난하고 있다. 일부는 ‘어떻게 되겠지’라며 사태추이를 관망하는 측도 있다.
성주군청공무원직장협의회 김경호 회장은 사견임을 전제로 “실과소장 등 간부공무원들의 경우 자녀들도 어느 정도 성장했고 여력도 되는 만큼 희생과 봉사의 측면에서 관내 거주가 가능하겠지만 젊은 직원들은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는 구조적 개선이 선행되야지 공무원이 옮겨온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돼 원칙적으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주민들은 환영일색이다. 주민들은 대체로 “1천여명에 달하는 공무원과 가족들이 성주로 옮겨올 경우 지역경기 활성화는 물론 지역실정을 잘 알게 돼 ‘살기 좋은 성주건설’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며 크게 환영하고 있다. 성주읍 강모 씨(57)는 “성주군민을 위해 일하고, 군 예산으로 보수를 받는 공무원들이 성주가 아닌 타지 거주하는 것은 아무리 거주이전의 자유가 있다손 치더라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며 “백 번 생각해도 잘하는 조치로 박수를 보낸다”고도 했다. 배모 씨(45)는 “아이들 학교문제를 핑계삼아 반발하는 처사는 명문고 도약을 염원하는 군민을 무시하는 처사이자 교육수준 높이기에 오히려 앞장서야 할 공무원들이 이를 외면하는 이기적 발상”이라고 질타하기도 했다.
한편 성주군은 공무원과 계약직 등 600여명의 70∼80%가 타 지역에 주소를 두거나, 주소지는 성주에 두고 인근 도심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