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형제와 half brother(반 형제)
같은 아버지의 두 아내에게서 난 형제 남매 간을 우리말은 어머니의 배를 달리한다는 사실 그대로를 나타내어 ‘이복 형제 간’ 또는 ‘이복 자매 간’이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양부모를 다 같이하는 경우와의 친소(親疎) 관계를 나타내어 ‘half brother’ 또는 ‘half sister’ 즉 ‘반 형제 간’ 또는 ‘반 자매 간’이란 말을 쓴다.
이러한 어법은 같은 어머니의 두 남편 즉 아버지를 달리하는 형제 자매 간에서도 같다. 우리말로는 ‘이부 형제 간’(異父 兄弟間)이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역시 ‘half brother’ 또는 ‘half sister’ 등으로 말하는 것이다.
→부모 중 한 쪽이 다르다고 하여 형제 자매 관계가 반 밖에 안 된다고 노골적으로 나타내니 참으로 매정한 서양인의 형제관이 아닌가?
·장모와 mother-in-law(법적 어머니)
남녀가 결혼을 하게 되면 또 한 쪽의 부모, 즉 남자로서는 장인 장모를 갖게 되고, 여자로서는 시부모를 갖게 되는데, 이 새로운 부모에 대한 호칭과 지칭이 우리말과 영어에서 다른 현상을 볼 수 있다. 우리말로는 ‘시부모’(시아버님, 시어머님)와 ‘처부모’(장인, 장모)라는, 사실 그대로를 나타내는 데 그치지만, 영어에서는 양가 부모에게 다 같이 새로운 법률관계를 나타내는 말을 덧붙이는 것이다. 즉 양 부모 다같이 ‘mother-in-law’ ‘father-in-law’라고 지칭하는 것이다(호칭으로는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가족관계를 법적으로만 따지는 서양인의 법적 의식구조를 볼 수 있다.
·작은 아버지/작은 어머니와 uncle/aunt
우리말에서 아버지의 형제 및 그들의 아내를 나타내는 말은 ‘백부’ ‘숙부’ 및 ‘백모’ ‘숙모’로서 그 말 자체에는 ‘아버지’(부)와 ‘어머니’(모)라는 말이 있어 그들도 부모시하는 존대의 뜻이 있으나, 영어의 경우에는 ‘uncle’이나 ‘aunt’에 그러한 의미가 전연 없는 것이 다르다.
이러한 현상은 아버지의 누이와 어머니의 자매 즉 ‘고모’와 ‘이모’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거기에도 ‘어머니’란 글자가 있어 어머니와 같은 존대의 뜻이 나타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같은 한자를 쓰는 중국어와 일본어에서도 같다.
→아버지의 형제와 그들의 아내까지 통털어서 ‘아저씨’와 ‘아주머니’처럼 다루는 것에 우리보다 인색한 서구인의 인정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