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33호선 확장공사와 관련한 성주군 지역 토지 등 보상협의가 급진전을 보이고 있다. 지난 7일 현재 1차 보상사업 대상 314건 중 289건이 보상에 합의해 보상 합의율은 무려 92%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구별 보상 합의율은 제1공구(고령∼수륜 계정리)가 86%, 제2공구((계정리∼대가 옥화리)는 100%, 3공구(옥화리∼성밖숲)는 99.7%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본보 439호 ‘33호 국도 확장공사 내년 본격 시작’제하의 기사를 보도한 작년 12월 중순경, 당시 보상협의가 거의 전무했던 실상과 비교하면 짧은 시간 큰 진척을 이룬 것이다.
보상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한국감정원 관계자에 따르면 “현장방문 및 주기적인 전화요청, 보상업무 및 보상법에 관한 친절한 상담과 질 높은 서비스지원 등이 주효했다”고 풀이하고 있다. 최근 경기침체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부 미합의자는 거소불명자 또는 보상액이 낮다는 이유로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지주들로 한국감정원 이한규 대리는 “거소불명 건은 1월중에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신청 후 공탁절차를 거처서, 불응 건은 지속적인 접촉으로 보상업무를 마무리할 계획”임을 밝혔다.
하지만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는 보상업무는 작년도에 계획되었던 1차 보상사업에 불과하다. 공사가 진척되면서 길게는 8차 이상까지 보상업무가 지속될 수도 있다. 이 대리는 “현재의 추세라면 금년도 보상업무도 조기에 80% 이상 협의를 완료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원활한 보상타결은 공사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감정원의 적극적인 보상업무 추진으로 2년여가 경과한 현재까지 지지부진했던 확장공사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