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봉화와 봉수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을 우리 학생들이 탐방하러 갔어요. 각 건축물과 성곽에 담긴 과학적 원리와 기법에 대해 선생님께 설명을 들으며 눈으로 직접 보니 우리 선조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많은 건축물 중에서 특히 우리 학생들의 시선을 잡은 것은 바로 ‘봉돈’이라 불리는 봉수대였습니다. 검은 벽돌로 지어진 5개의 봉수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선생님께서 봉화를 올리는 봉수대나 봉화에 대해 자신이 아는 것을 이야기해보자고 하셨습니다. 다음은 봉수대나 봉화에 대해서 친구들이 이야기한 내용입니다. 그중에서 바르게 이야기한 친구를 모두 찾아보세요. 장희 : 봉화는 평소에는 올리지 않고, 전쟁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만 올리는 것이었어. 진용 : 비가 오거나 눈이 와서 봉화를 올릴 수 없으면 봉수대를 지키는 봉수군이 다음 봉수대까지 달려가서 소식을 전했다고 해. 혜연 : 봉수대가 산 정상에 있었던 이유는 봉화의 연료가 되는 나무와 풀 등 땔감을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야. 효선 : 봉화는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연기가 잘 보이지 않아서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고 들었어. 성우 : 봉화를 올리는 수에 따라 전달하는 의미가 달라. 평소에 아무 일도 없다는 의미로 하나의 봉화는 항상 올렸대. 2. 우유가 넘칠까요? 효정이는 최근 주변에 있는 물체들이 열을 받으면 팽창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유도 다음과 같은 상황이 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우유를 병째로 뜨거운 물에 넣어서 데우면, 우유가 마개 밖으로 새어 나오겠지? 아마도 데워진 우유가 팽창하기 때문에 병을 가득 채운 후, 나중에는 마개 위까지 넘쳐 흐르게 될 것 같아. 효정이의 생각에 대해 친구들의 생각은 조금씩 다릅니다. 이 중 바르게 이야기한 친구를 찾아보세요. 민수 : 병째로 뜨거운 물에 넣으면 우유가 팽창한다고 했는데, 병도 열을 받아서 팽창하니까 내부가 넓어질 것이고, 처음보다 더 아래로 내려갈 거야. 명석 : 병이 열을 받으면 안쪽으로도 팽창해서 병 안은 더 좁아지게 되지. 우유도 팽창하고 병 안도 좁아지니까 우유가 넘치는 게 맞아. 진실 : 병은 열을 받아 팽창하면 겉도 안도 다 넓어져. 우유가 팽창하지만 병도 늘어나니까 서로 영향을 받아 우유가 넘치지 않게 되지. 정희 : 내 생각은 유리가 열을 받아서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보다 우유가 열을 받아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가 더 커서 우유가 넘칠 것 같아. 3. 초콜릿의 진실 먹기에는 너무 아까울 정도로 예쁘게 만든 초콜릿! 초콜릿을 멋있는 예술작품으로 변화시키는 직업이 있다는 것을 들어 보았나요? 그 직업이 바로 ‘쇼콜라티에(Chocolatier)’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선 아직 생소하지만 초콜릿의 역사가 오래된 유럽에서는 400년 전에 생겼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초콜릿을 사면서 달콤한 맛을 기대할 뿐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가 어떻게 생산되는지는 잘 모를 겁니다. 국제비정부기구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UN에 여론을 반영하려고 설립된 각국의 민간단체인) ‘세이브 더 칠드런’이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초콜릿의 45%를 생산하는 아프리카 한 농장에서 수천만 명의 아동노예가 카카오 농장에서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아동들의 나이는 9~13살이고 이중 반 이상은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하루 10시간 이상의 중노동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린이의 노동을 이용해 생산한 상품은 구매하지 않겠다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기업도 윤리적인 생산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니 다행이지요. 이 밖에도 초콜릿에 얽힌 이야기는 무궁무진합니다. 다음은 초콜릿에 대해 친구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그 중 바르게 이야기한 친구를 모두 찾아보세요. 종구: 심장병을 예방하는 데는 적당량의 초콜릿이 도움된다고 해. 정인: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 껍질에는 충치를 유발하는 성분이 있다고 해. 형진: 옛날 멕시코 원주민들은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 콩을 화폐로 사용했다고 해. 진영: 초콜릿은 열량이 높아 개나 고양이의 간식으로 아주 적당해. 성훈: 피로할 때 초콜릿을 먹으면 힘이나. 4. 소화가 되지 않을 때 음식을 먹다 체하면 바늘이나 채혈 침을 이용해서 엄지손가락 끝을 찌릅니다. 그러면 평소보다 검은 피가 나오는데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이를 바르게 설명한 사람은 누구일지 모두 고르세요. [선자] 체하면 몸속으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그래서 산소가 부족한 피가 손가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검은 피가 나오는 거야. [수경] 엄지손가락 쪽에는 정맥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검은 피가 나오는 거야. 체했다고 검은 피가 나오지는 않아. [성훈] 체하면 기가 막히게 되어 적혈구들이 평소보다 잘 뭉치게 돼. 그래서 평소보다 짙은 검은 피가 나오는 거야. [종구] 손가락을 따기 전에 엄지손가락을 돌돌 말잖아. 그러면 피가 엄지손가락으로 끝으로 쏠려 검은 피가 나오는 거지. 체했다고 검은 피가 나오지는 않아. [지현] 체하면 몸속의 피가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으로 몰리게 돼. 그래서 손가락 끝을 따면 검은색 피가 나오는 거야.
최종편집:2025-05-16 오후 01:43: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