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한국언론재단 대전교육센터에서 실시한 ‘정보공개청구를 활용한 글쓰기’와 ‘지방자치단체 조례입법 실무연수’를 다녀왔다.
때마침 지난 주 휴간과 연수 기간이 맞물려 발행인과 취재부 기자 3명 등 총 4명이 함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됐다.
이번 교육에는 경북일보, 경북매일신문, 옥천신문, 충북일보, 전남일보, 강원일보, 홍성신문, 청양신문 등 전국의 일간·주간신문사 기자 30여명이 함께 참여했다.
15일 첫 강의는 전진한 정보공개센터 사무국장이 ‘정보공개 청구 어떻게 할까’, ‘실제적인 정보공개 청구’를 주제로 기획기사 주제 설정법과 정보공개청구 내용 잡기 등 실무 위주의 수준 높은 강의를 펼쳤다.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모든 정보에 대해 일반인은 공개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그 대상 기관은 공개의무를 지니고 있음을 주지시키는 중요한 기회가 됐다고 평가된다.
이어 박대용 춘천문화방송 기자와 정재호 국민일보 사회부 차장은 ‘정보공개청구를 활용한 글쓰기 사례’란 주제 아래 비공개에 대한 대책과 이의 신청하기, 자료를 통한 기획 기사 쓰기 등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했으며,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 기사와 실패한 기사를 사례별로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3일차 교육은 김회창 인천시 동구의회 전문위원이 ‘지방자치와 조례입법 일반론’을 주제로 열띤 강의를 펼쳤다. 주민과 기자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조례입법의 절차는 물론 조례가 주민생활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더욱 분석·비판적인 언론보도를 취해야함을 일깨우는 내용이었다.
또 임병식 새전북신문 부장은 ‘지역신문의 조례입법 보도’로, 전기성 한양대 교수는 ‘지방자치와 지방의회 활동’이란 주제 아래 각 지자체의 우수조례 사례를 확인해보며 지자체와 지방의회, 지역민과 언론이 해야할 역할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기도 했다.
송재봉 참여자치지역연대 집행위원장의 ‘조례제정과 시민단체의 역할’이란 교육을 통해서는 조례입법 운동 사례와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어 조주현 전 옥천신문 편집국장은 ‘조례제정과 지역신문의 역할’이란 주제 아래 지역발전을 위한 보도기법과 주의사항, 자료수집을 통한 기사 작성 등 실무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론을 교육했다.
아침 9시 30분에 강의가 시작되고 10분씩의 휴식시간을 제외하면 저녁 6시가 돼야 일과가 끝나는 빡빡한 일정이 쉴 틈 없이 이어졌지만 이번 연수가 본사 취재부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유익한 기회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우리 지역의 지방자치조례는 건강한지, 의원들의 발의 건수는 얼마나 되는지, 각 단체장의 공약사항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몇 년 동안 잠자고 있는 조례를 그냥 둬도 되는지, 주민참여조례가 왜 부실한지, 연간 사업계획 수립과 예결산이 제대로 집행되고 있는지 등 거듭 확인하고 지역민에게 알려할 사항들이 너무 많아졌다.
날카로운 기자의 시선으로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이 앞당겨지기를 바라며, 이 곳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로 연결시키는 지혜로운 기자가 될 것을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