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 신종플루 환자 급증…대응태세 미흡 지적
지역 도의원들이 도의회 제236회 임시회에서 5분 발언에 나섰다.
김지수 도의원(교육환경위원회)은 지난 19일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최근 신종플루 환자 급증으로 우려가 높아가지만 대응체계는 미흡함”을 질타하며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전문인력을 보강하는 등 총력 대응해줄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구미의 한 여중생 감염 이후 9월말 현재 도내 신종플루 감염 환자 수는 840명에 이르고 있다”며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경북의 경우 예산과 시설장비, 조직 면에서 볼 때 충분한 대처를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신종플루는 공기로 감염되기에 환자 수용공간과 일반병동 간에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음압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나 도내 격리병원 어느 곳에는 시설을 갖춘 곳이 없다”며“따라서 일반병동과 격리한 별도의 수용공간을 마련해야 하나 작금의 의료현실상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이런 현실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사스, 노로바이러스 등 신 법종전염병이 동시다발로 창궐한다면 이후 사태는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며 “치료공간은 물론, 전염병 검사 장비와 인력 등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도 보건환경연구원 내에 특수전염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전담 부서가 없는 점”도 지적하며 “단 6명이 전염병을 비롯해 지나치게 넓은 업무를 전담해 각종 전염병과 인수공통전염병 검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임을 전했다.
“전염병 진단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최소한 78종에 걸친 진단 기능을 갖춰야 하나 수행 가능한 진단 기능은 28종에 불과하다”며 “신종플루를 포함한 각종 특수전염병으로부터 도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검사 기능만이라도 갖춰 전담 부서의 설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재차 강력히 주장했다.
박기진, 가야산국립공원 불합리 구역 재조정 촉구
박기진 도의원(농수산위원)이 5분 발언을 통해 가야산국립공원 불합리한 구역 재조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 의원은 지난 19일 제236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 발언에 나서 김관용 도지사에게 가야산국립공원 불합리한 구역 재조정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 자리에서 박 의원은 “1972년 가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며 인근의 수륜면 백운리·봉양리와 가천면 법전리 주민들은 불합리한 공원구역에 묶여 37년 동안 아무런 행위도 할 수 없어 고통을 겪어왔다”며 “따라서 지난 2007년과 올해 도정질문에서 이를 시정해 줄 것을 요구해 왔다”고 밝혔다.
이에 “경북도에서 중앙부처에 적극적으로 건의한 결과 규정상 10년 단위로 이뤄지던 국립공원 구역조정이 5년 만에 결정돼 내년 재조정이 이뤄지게 됐다”며 “일부는 해제안에 적용됐지만 수륜과 가천면지역 주거지 및 농경지 56만5천㎡는 공원으로의 존속기능이 거의 없음에도 공원총량제라는 명분에 묶여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를 해제하기 위해 도유림 중에서 동일 면적만큼 대체 지정해야 한다”는 최적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앞으로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 의원은 이날 5분 발언에 앞서 도의회 본회의 5분 발언 방청단으로 참석한 가야산국립공원 구역 조정협의회 이근덕 주민대표위원을 비롯한 월남전우회 서봉래 수륜면회장 등 6명의 지역주민대표와 함께 경북도 우병윤 환경해양산림국장, 김동성 환경정책과장, 은종봉 산림녹지과장 등을 차례로 방문하고 불합리한 공원구역 재조정을 위해 경북도가 앞장서 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