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T : How are you today, everyone? S : ……. T : I`m good. ○○, how are you today? S1 : …. T : Don`t feel nervous. Try it, please. S1 : ……. 아이들은 오늘도 어김없이 침묵으로 나에게 답을 했다. 3월초 나는 아이들과의 즐거운 첫 영어수업을 기대하며 수업에 임하였다. 반갑게 영어로 인사를 건네는 나에게 아이들은 호기심 찬 눈으로 나를 바라볼 줄 알았는데 우리말로 하라는 듯 멀뚱멀뚱 나만 바라보면서 “선생님, 우리말로 하세요.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모르겠어요.”라며 내가 영어로 말하는 것에 거부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발표를 시켜도 영어로 발표한다는 것에 자신감을 가지지 못 하고 부끄러워서 소극적으로 반응하는 아이들이 많았다. 이 곳 아이들이 도시의 아이들에 비해 학원이나 학습 환경이 뛰어나지 못 해서 도시의 아이들보다 영어를 접하는 기회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학원을 다닌다고 하는 몇몇 아이들도 알파벳이나 영어 낱말과 간단한 문장 등의 단편적인 지식을 갖고 있었지만 간단한 질문에도 대답을 못하는 것으로 보아 실제적인 상황 속에서 영어로 듣고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으며 배우는 영어 또한 무척 단편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영어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자신감 있게 영어를 표현할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단편적인 영어 지식보다는 실제 생활에서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아이들이 영어를 지루하고 어려운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재미있고 즐겁고 쉬운 것이라고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우선 아이들이 영어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고 영어로 듣고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많이 제공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다시 말해 놀이 및 활동 중심 수업으로 의사소통능력을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 본군은 TaLK 대학생, 미군부대 원어민 활용 등 많은 원어민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면 특별히 배운 영어학적 지식도 없을 뿐더러 영어교육을 해본 경험도 많지 없지만 나름의 의욕과 틈틈이 보고 터득한 어줍잖은 교수·학습 방법으로 3월 달부터 지금까지 원어민 활용 영어 교수·학습 사례들을 지면을 빌어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 영어 지도방법 본 교사는 영어 학습의 기초단계에 속하고 있는 아이들에게 원어민과의 실제적인 대화 속에서 영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다양하고 재미있는 영어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이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즐겁게 영어를 익혀가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가. 지도방법 1) 아이들과 원어민 선생님이 우선 친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교사는 아이들이 영어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국인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야 한다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았다. 원어민 선생님들이 본교에 오면 아이들의 순수하고 활발한 모습에 너무나도 귀여워하며 가르치는 것에 즐거워한다. 어떤 선생님은 이런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지갑에서 돈을 꺼내어 아이들에게 1달러씩 준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아이들만 좀 더 마음을 열고 원어민 선생님들을 대한다면 충분히 친해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모둠활동이나 게임활동을 할 때에 원어민 선생님이 도우미로 투입되어 아이들과 같이 게임을 즐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잠깐 쉬는 시간이나 수업활동 중에도 아이들이 본교사보다 원어민 선생님에게 도움을 요청하게끔 하였고 만약 영어 표현이 서툰 아이는 영어표현을 가르쳐주면서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랬더니 처음 원어민 선생님이 교실에 들어왔을 때에는 약간의 두려움과 거부감으로 대하던 아이들이 지금은 원어민선생님을 너무나도 좋아하며 쉬는 시간에는 사인도 받고 팔에 매달려 놀기도 한다. 그리고 원어민 선생님이 학교를 떠날 때까지 뛰쳐나와 손을 흔들며 “Bye!”라고 하는 모습은 여간 귀여운 것이 아니다. 우리 반 한 아이는 성주축제 때 외국인을 만났을 때 다가가서 “Hello!”라고 인사를 나누었다고 자랑하였다. 이처럼 외국인을 대할 때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 영어실력을 높이는 데 반 이상의 역할을 한다고 본다. 2) 다양하고 재미있는 활동을 통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아무리 원어민과의 수업이 새롭고 신기해도 배우는 내용이 재미없고 따분하면 수업은 지루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본 교사는 될 수 있으면 많은 자료와 활동 내용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려고 노력하였다. 공, 파리채, 빨래집게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만들었고 빙고놀이, 로또게임, 주사위 놀이 등 많은 게임을 통하여 아이들이 수업에 흥미를 가지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또 ‘Happy Birthday’ 내용을 배울 때는 아이들과 원어민 선생님과 같이 케이크에 촛불을 붙여 생일 파티를 해 보았고 ‘sports’를 배울 때는 원어민 선생님과 같이 축구도 하면서 즐겁게 시간을 보내었다. 3)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그냥 외우고 지나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직접 원어민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활용해 봄으로써 직접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배운 표현을 직접 써봄으로써 대화 속에서 이 표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아이들에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What`s this?’ 라는 표현을 배운 한 아이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자발적으로 원어민 선생님한테 가서 수업 시간에 자기가 그린 그림을 보여주며 무슨 그림인지 물어보기도 하였고 ‘I`m sorry.’를 배운 한 아이는 수업시간에 열심히 듣지 못 했다며 원어민 선생님한테 “I`m sorry.”라고 말하는 것을 보았다. 그냥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그냥 묻어두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원어민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활용하는 모습을 보니 아직 많이 서툴고 미흡하지만 조금씩 조금씩 한 마디, 두 마디씩 건네는 모습을 보니 너무 뿌듯하였다. 나. 실천결과 아직 첫걸음마에 불과한 원어민 선생님과의 수업이지만 그동안 이루어진 영어 수업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어민 선생님과의 잦은 접촉으로 외국인과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씩 감소되는 듯 하였다. 그리고 교실 밖에서 외국인을 만나도 직접 접근하여 말을 해볼 수 있는 모험심을 기르는 데에도 많이 도움을 준 듯하다. 2) 원어민 선생님과의 실제적인 대화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말해보려는 태도가 많이 늘었다. 3) 다양한 활동과 원어민 선생님과의 영어수업으로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다. 4) 원어민 선생님을 통해 아이들이 외국의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된 듯하다. 다. 앞으로의 과제 1) 아이들이 원어민 선생님과의 잦은 접촉을 통하여 실제적인 영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2) 아이들이 공부를 한다는 생각보다는 원어민 선생님과 즐기면서, 놀면서 영어를 익힐 수 있도록 수업을 이끌어갈 필요성을 느꼈다. 그래서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했다. 3) 아이들이 원어민 선생님과의 재미있고 그리고 유익한 수업을 보낼 수 있도록 본 교사가 지도내용과 자료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끊임없이 필요함을 느꼈다. 3. 나오며 처음에 본 교사는 원어민 선생님에 대한 두려움과 수업진행을 위한 자료 및 지도내용을 매주 준비해야 한다는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시작하였지만 원어민선생님과의 수업을 너무나도 즐기며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수업에 임하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니 너무 뿌듯하고 더욱 더 열심히 준비하고 노력하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은 평소 원어민 선생님과의 영어 수업이 가장 기다려진다며 “영어 선생님 뿐 아니라 원어민 선생님과 여러 가지 활동을 하다보면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영어 표현을 익힐 수 있어서 좋다.”라며 매일 영어수업이 들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그리고 처음에는 원어민 선생님이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무슨 말인지 고개만 갸우뚱하던 아이들도 이제는 어느덧 몸짓으로, 눈빛으로 조금씩 이해해가는 모습이었다. 이런 아이들의 기대에 발맞추어 본 교사는 더욱 더 재미있고 즐겁게 수업을 진행해 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아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지도내용과 다양한 놀이와 교수·학습 재료를 구안하며 원어민 선생님과 그리고 본 교사의 상호 협의하에 훨씬 효과적이고 즐거운 수업을 해나갈 수 있는 know-how를 꾸준히 쌓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겠다.
최종편집:2025-05-16 오후 01:43:5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