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NIE를 생각하며…
‘신문은 살아 있는 교과서`란 말처럼 매일 새로운 내용이 실리고 있다. 그래서 신문은 교과 활용은 물론 말하기, 쓰기 등의 언어교육과 창의적, 논리적, 분석적, 비판적 사고능력의 개발, 인성지도와 감성(EQ)의 계발 등 여러 영역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다시 말해 새로운 기사 내용과 신문 구성의 다양함을 활용하여 재미있고 유익하고 생생한 학습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것이 바로 NIE(신문 활용 교육)인 것이다.
어느 날 아이들의 사물함을 살펴보다가 우연히 많은 신문뭉치들을 발견했었고 그 신문들을 아이들은 읽지도 않은 채 그대로 버려진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신문을 왜 읽지 않고 그냥 버리니?” 라는 질문에 아이들은 일제히 “재미없어요” “만화나 수수께끼, 퍼즐만 보고 더 이상 안 봐요” 하는 아이들도 있었다. 그래서 “그럼 여러분들은 집에 가서 주로 뭐하고 지내니?” 라는 질문에 아이들은 일제히 “컴퓨터요” 라고 대답을 했다.
순간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이 많은 지식과 정보가 담긴 신문의 내용을 아이들에게 지도할 수는 없을까?’ ‘아이들이 좋아하는 컴퓨터와 신문을 접목시켜서 과제학습을 하게 하면 어떨까?’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는 지식과 정보들 중 아이들 스스로가 궁금한 점을 직접 찾을 수 있도록 능력을 키워주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본 교사는 아이들이 신문과 친숙해 질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바꾸어 주는 것부터 시작하여 아이들이 좋아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보는 E-NIE(electronic Newspaper in Education:전자신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아울러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아이들의 정보화 능력을 신장시켜 주면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 신문 활용 방법
가. 친숙단계
1) 신문으로 놀이하기
신문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이 신문과 좀 더 친숙해 질 수 있도록 한다.
2) 지식 검색 퀴즈하기
퀴즈를 누가 가장 먼저 검색하여 답을 찾는가 하는 놀이이다. 이 활동을 통하여 아이들에게 서로 경쟁하면서 흥미 있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자료검색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3) 학급홈페이지 활용
교사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학급 홈페이지에 탑재해 주고, 아이들은 자신들이 찾은 자료를 홈페이지에 탑재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교사의 자료를 집에 가서도 쉽게 꺼내어 볼 수 있고, 아이들끼리도 서로 자신이 찾은 자료 뿐 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이 찾은 자료를 함께 봄으로써 서로 정보의 교환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적응단계
1) 기사 스크랩하기
아이들이 기사를 스크랩 하면서 정보탐색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많은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스크랩을 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이 몰랐던 새로운 정보들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크랩 지도방법 >
◎ 1단계
① 아이들이 관심 있어 하는 영역이나 간단하고 재미있는 기사, 사진, 그림, 도표, 광고, 활자 크기와 모양 등으로 우선 신문과 익숙해지도록 한다.
② 분류 기준은 아이들의 흥미나 관심에 따르도록 한다.
③ 학교에서 같이 스크랩해보고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과제로 제시한다.
④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스크랩하도록 유도해 본다.
◎ 2단계
① 매일 계속 하도록 지도하고 좀 익숙해진 후에는 스크랩한 기사 옆에 자신의 느낌을 적어 넣도록 한다.
② 신문 이름과 발행일자도 적는다.
③ 자기가 좋아하는 기사나 내용이 많은 신문을 찾아보도록 한다.
④ 스크랩한 내용을 친구들과 비교해 가면서 좋은 점을 찾아 수정해본다.
⑤ 스크랩한 것을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보관한다.
2) 사이버 토론하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토론을 하게 되면 아이들의 흥미도를 높여서 학습에 효과가 클 것이다. 그리고 토론학습이 일부 말 잘하는 아이들의 독무대가 아닌 다소 소극적인 아이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을 것이며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을 다룰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매우 효율적인 학습이 될 것 같다
◎ 사이버토론 학습을 하기 위한 준비
① 토론 학습 주제가 필요
② 학습 참여자가 필요
③ 인터넷 학습 환경이 필요
3) 학습정보 찾기
수업 도중 필요한 정보를 즉시 검색하여 알아보는 방법으로 신문 기사를 각 과목과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이들 스스로 찾는 과정을 통해 학습에 강한 흥미를 갖게 됨과 동시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다. 활용단계
1) 주제신문 만들기
이미 만들어진 신문에서 벗어나 직접 제작해 보는 방법을 익히는 단계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직접 신문의 기사를 쓰면서 문장력을 키우고 정보를 찾고 모으는 과정을 통해서는 사고력과 판단력이 신장될 것이다. 또한 신문을 컴퓨터로 작업함에 있어서 정보 활용 능력이 다양하게 편집함으로써 아이들의 창의력 또한 길러질 수 있을 것이다.
◎ 일반적인 신문을 만들기까지의 과정
알리고 싶은 내용 정하기→자료 수집하기→기사 쓰기→지면 구성 계획하기→기사 배치하기→편집하기→신문 출력하기
◎ 주제 신문 만들기 과정
① 제작 방법 고르기 - 기사를 종이에 쓸 지 컴퓨터를 이용할지 만드는 방법을 정하는 단계이다
② 신문 이름 정하기 - 내용을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이름을 붙인다.
③ 발행 주기, 크기, 쪽수 - 발행주기는 주제에 맞게 정하고 신문의 크기나 쪽수도 주제에 맞게 정한다.
④ 담을 내용 기획 - 주제에 맞게 정하되 구체적으로 잡는 것이 좋다.
⑤ 신문 꾸미기 - 전체적인 조화와 짜임새를 생각하며 배치한다.
2) 신문일기 쓰기
신문일기란 그 날 하루치 신문 뉴스 가운데서 가장 인상적인 내용을 일기로 쓰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은 자신이 겪었던 일을 바탕으로 일기쓰기에 벗어나 다양한 내용과 흥미 거리가 담긴 신문 속에서 주제를 찾음으로써 아이들은 일기쓰기에 좀 더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문을 읽는 과정에서 사고력과 논리력을 기를 수 있으며 쓰기 과정에서는 문장력 또한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신문 일기 쓰는 방법
① 글감 찾기 : 먼저 오늘의 신문 뉴스 중에서 자신이 가장 마음에 드는 기사와 사진을 고른다.
② 주제와 제목정하기 : 자신이 고른 사진을 보면서 어떤 주제로 쓸 것인지 생각한다.
③ 내용 쓰기 : 일기장에 날짜와 날씨 등을 적고, 스크랩한 기사나 사진 등을 종이에 붙이거나 홈페이지 게시판에 탑재한 다음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다.
3. 이런 효과를 기대하며…
가. 교과서에서만 다루던 학습내용의 영역을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주어서 아이들이 폭 넓게 공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나. 교과서 중심의 읽기 교육에서 탈피하여 아이들 스스로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 아이들이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대화를 나누거나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다소 소극적인 아이들도 학습에 적극 동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라.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지고, 수많은 정보들 중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마. 주제별 신문제작으로 아이들은 스스로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과 올바른 인터넷 활용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바. 평소에 잘 읽지 않던 신문을 다양한 체험과 놀이 활동을 통해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며 신문을 읽는 동안에 사회 전반적인 변화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