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이 이슈가 되고 있고,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캠페인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왜 에너지를 절약해야 하는 것일까요?
우리나라는 자원이 빈약하고 석유가 전혀 나지 않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인구는 많고 일인당 에너지 소비율은 높은 편입니다. 주요 에너지원인 석유를 수입해야 하는 실정에서 에너지를 아껴 쓰는 것은 국가적인 지출을 막기 위한 중요한 일입니다.
또,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다보면 환경 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됩니다. 오염물질 중에서도 특히 온실가스의 증가는 지구 온난화를 불러옵니다. 지구의 평균 온도가 높아지면 극지방의 빙하가 녹게 되고 해수면이 상승합니다. 해수면 상승이 심각해지면 대륙의 많은 부분이 물에 잠기게 됩니다. 또한 수온과 기온의 상승은 엘리뇨 현상을 일으키고 그로 인해 강력한 태풍이 일어나 홍수와 같은 재난이 일어납니다. 그 반대쪽 지역에는 비가 오지 않아 사막화 되는 현상이 생겨나게 됩니다.
무엇보다 지구는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으로서, 그 안에 품고 있는 자원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당장은 자원을 풍족하게 사용해도 괜찮을지 모르나 우리의 후손들은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생존이 힘겨워질 것입니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석유는 40년 치, 천연가스는 60년 치 정도가 남아있다고 합니다. 다른 대체에너지를 개발하고는 있으나 아직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실정은 아닙니다. 가까운 미래, 어쩌면 바로 우리가 자원 부족에 시달리지는 않을까요?
이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지금부터 우리는 에너지를 절약해야만 합니다. 그러면 우리가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 가정에서의 에너지 절약 Tip
여름철 에어컨과 겨울철 보일러 비 아끼기
아이스 팩을 준비해서 여름엔 냉동실에 얼리고, 겨울엔 전자렌지에 덥힙니다. 여름에 얼린 아이스 팩을 발바닥이나 목 뒤에 대면 에어컨 보다 더 효과적으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겨울엔 핫 팩을 만들어 안고 있거나 잘 때 안고 자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핫 팩이 없다면 페트병에 따뜻한 물을 넣어 사용해도 좋습니다.
냉장고 안 칸막이 치기
냉장실 문 앞쪽에 비닐로 칸막이를 치면 문을 열고 닫을 때 냉기가 덜 빠져나가 전기세를 아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대형 냉동 창고들에는 비닐 칸막이가 많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냉장고 전기세 절약하기
냉장고 문을 자주 여닫지 말고 냉장고 전체의 60%만 채우면 냉기가 잘 순환되어 꽉꽉 채울 때 보다 전기를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뜨거운 음식은 식혀서 넣어야 열기를 식히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건전지 오래 쓰기
다 쓴 건전지의 옆면을 망치를 이용해 4-5회 정도 두드린 후에 다시 사용하면 건전지를 조금 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절전 멀티탭 사용하기
절약을 하느라 일일이 코드를 다 뽑는 것 보다는 절전 멀티탭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전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멀티탭의 ON/OFF 버튼은 전기 스위치를 끄고 켜는 것과 같으므로 코드가 꽂혀 있어도 멀티탭이 OFF가 되어 있으면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물을 빨리 얼리는 방법
야외로 나가기 전날 작은 생수병에 물을 넣어 얼려가는 경우가 많지요? 얼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그렇게 되면 들어가는 전기량도 많습니다. 얼리는 시간을 단축하려면 미리 얼어 있는 각얼음 몇 개를 크게 조각내어 병에 넣고 찬물을 넣으면 됩니다. 이미 생성되어 있는 얼음 조각이 있기 때문에 그 주변으로 생기는 얼음 결정의 생성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를 통해 더 빠른 시간동안 적은 전기를 가지고 물을 얼릴 수 있습니다.
세탁기 돌리는 전기 절약하기
세탁기를 사용할 때 이미 세탁기에 설정되어 있는 탈수 시간은 5-12분정도입니다. 그러나 탈수가 다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분이면 충분합니다. 따라서 탈수가 5분정도 진행되면 세탁기를 멈추는 것이 전기를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또 세탁기를 돌릴 때에는 세탁물을 모아서 한꺼번에 하는 것이 전기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난방비 절약하는 요령
겨울철 집에서 덧신과 내복을 입으면 체감온도가 3도 이상 올라가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 전기장판 아래에 단열 매트를 깔면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으며, 창틈과 문틈을 막고 두꺼운 커튼을 치면 난방비를 훨씬 아낄 수 있습니다.
휴대폰 배터리 수명이 다 되었을 때 다시 살리는 방법
휴대폰 배터리는 6개월이 지나면 수명이 짧아져 1년 정도 지나면 눈에 띌 정도로 수명이 짧아집니다. 이럴 때에는 습기를 제거한 후에 랩으로 배터리를 꽁꽁 싸서 냉동실에 24시간동안 얼려두면 새것처럼 성능이 좋아집니다. 이는 극저온 상태에서 전해물질들이 원래 자기자리로 돌아가려는 원리 때문입니다. 6개월에 한번 정도 이렇게 해 주면 전기도 절약하고 배터리도 더 오래 쓸 수 있습니다.
부엌에서 조리를 할 때에는
가스레인지의 불꽃 한 가운데에 조리기구가 위치하도록 조절하면 가스가 훨씬 덜 들어가며 바닥이 넓은 조리 기구를 사용하면 새어나가는 열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 가스 밸브는 절반만 열어도 조리를 하기에 문제가 없는 정도의 화력을 낼 수 있으니 완전히 다 열지 마세요.
압력 밥솥은 일반 솥보다 조리시간이 1/3정도 단축되며 밥맛이 더 뛰어나고 에너지 비용 면에서 유리합니다.
조명 기구는
반사갓을 이용하면 밝기가 30% 더 밝아집니다. 일반 백열구 보다는 형광등이 전기를 덜 소모하며, 일반 형광등보다는 삼파장 형광등을 쓰면 더 효율적입니다.
전기기구의 효율 등급
1~5등급으로 구성되며 1등급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1등급 제품을 구입하면 5등급 제품에 비하여 30~40%의 에너지가 절약되므로 반드시 효율등급을 확인하세요.
보일러 사용 시 연료 절약 방법
보일러를 오랫동안 쓰게 되면 내부에 이물질이 생겨서 난방효율이 낮아집니다. 6개월에 한 번 정도 보일러를 청소하면 약 10%의 연료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
□ 자동차를 이용할 때의 에너지 절약 Tip
대중교통 이용하기
자가승용차 대신 지하철, 버스, 열차를 이용하여 교통량을 줄이면 월간 9,600원, 연간 115,000원, 전국적으로는 3,256억원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거리는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하기
자동차의 연간 주행거리를 10%만 줄이면 월간 17,000원, 연간 205,000원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승용차 10부제에 참여하기
10부제, 카풀 등에 참여하면 연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도로 소통이 원활해지고 대기환경오염이 감소됩니다.
경제속도 준수하기
승용차는 60~80km/h로 달릴 때 연료 소비가 가장 적습니다. 이를 통해 월간 8,500원, 연간 20,500원, 전국적으로 1,630억원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서서히 출발하고 서서히 정차하기
급출발을 10회 했을 때 100cc, 급가속을 10회 했을 때 50cc의 연료가 소모됩니다.
엔진 공회전 하지 않기
자동차가 주유 중이거나 3분 이상 정차할 때에는 시동을 꼭 끕시다. 이를 통해 월간 3,300원, 연간 40,000원, 전국적으로는 3,170억원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에너지 절약에 대한 궁금증 해소
Q. 전기 플러그를 꽂아두고 멀티탭의 전원을 내려놓으면 전기세가 들지 않을까요?
A. 전기가 흘러야만 계량기가 돌아가게 되고, 그만큼 요금이 부과되게 됩니다. 멀티탭의 전원 버튼은 전기 스위치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며, 멀티탭의 전원이 꺼져 있으면 전기가 흐르지 않아 전기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Q. 저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자리를 비울 때 마다 컴퓨터 모니터나 스피커의 전원을 자주 껐다 켰다 하는 편입니다. 이것이 절약에 도움이 될까요?
A. 전자제품은 자주 켰다 껐다 하면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꺼주는 것이 에너지가 적게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전자 제품 코드를 뽑는 것 보다는 그냥 멀티탭의 전원을 내리는 것이 편리하고 좋을 것 같습니다.
Q. 절약을 하느라 전등을 자주 껐다 켰다하면 전기가 더 많이 쓰일까요?
A. 네. 일반 형광등은 점등 시에 15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의 전기가 소모되므로 전등을 자주 껐다 켰다 하면 오히려 전기가 더 많이 소모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화장실처럼 자주 전등을 끄고 켜는 장소에는 형광등이 적합하지 않아 백열등을 사용합니다.
Q. 창문에 단열 필름이나 열 차단 필름을 붙이면 에너지 절약이 얼마나 되나요?
A. 단열필름은 여름에는 강한 햇빛을, 겨울에는 실내 난방열 손실을 막아주어 에너지절약에 효과가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뜨거운 태양열을 최고 97%까지 막아주고, 겨울철에는 난방열 손실을 30%정도 줄여줌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많이 도와줍니다.
또한 부가적으로 유리 파손 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