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교 41만여명 교원에 대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오는 3월부터 전면 시행될 방침이어서 교육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국 1만1천여개 모든 초·중·고교의 교장·교감·교사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 및 교사 상호간 능력과 실적을 평가하기 위한 교원평가제 세부시행령을 지난 8일 공식 발표한 데 이어 16개 시·도별 여론조사 결과도 함께 공개했다.
여론조사 결과, 학부모의 86.4%, 교원의 69.2%(교장·교감은 87.2%, 일반교사는 64.4%)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찬성률이 높은 시·도는 전남(91.8%), 충북(90.5%), 인천(89.9%) 순이며, 낮은 시·도는 강원(80.0%), 충남(81.6%), 대전(82.6%)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교원 찬성률이 높은 시·도는 부산(75.5%), 울산(75.3%), 경북(73.1%), 낮은 곳은 전남(58.7%), 전북(59.0%), 광주(63.1%) 순으로 집계돼 전남의 경우 학부모와 교원간 평가제 도입에 대한 견해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실시에 따른 교육만족도 제고 효과에 대하여는 학부모의 85.6%, 교원의 64.7%가 ‘효과 있을 것’으로 응답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흥미로운 점은 평가결과를 인사ㆍ보수ㆍ연수부여 등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학부모는 찬성률이 높은 반면, 교원의 경우 낮은 수치를 보여 의견차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16개 시ㆍ도 총 5천200명(학부모 2천600명, 교원 2천6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8일부터 14일까지 실시했으며, 교원평가제 도입과 관련한 시ㆍ도별 여론조사로는 처음이다.
공개된 평가방식을 살펴보면, 교사에 대한 평가사항은 △선생님은 수업시간마다 무엇을 공부할 지 자세히 알려주십니다 △선생님은 우리들의 의견이나 생각을 발표할 때 열심히 들어주십니다 등과 같은 18개의 지표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이상 5개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다만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학생들은 발달 상태를 고려해 직접 평가하지 않고 대신 학부모가 담임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해 평가하게 된다.
김모(경산리, 여, 36)씨는 “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라면 누구든지 학교 측에 저자세가 되기 일쑤였는데, 이젠 거꾸로 교사를 평가한다니 조심스럽기도 하지만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공감을 표했다.
교원간 상호평가 역시, 교장은 교감·교사를, 교감은 교장·교사를, 교사는 교장·교감·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지도·학생지도 부문에 대한 전 방위적인 평가가 이뤄지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평가 결과를 교원 개개인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것이며, 결과가 저조한 교원은 등급별로 연수를 의무적으로 받게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시행이 공교육의 신뢰와 만족도 제고에 어떤 새바람을 일으킬 지 지역민의 기대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