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수 한전 성주지점 고객지원팀장
우리나라는 국내 총 에너지 수요의 9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수준의 향상 등으로 매년 에너지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갑작스러운 한파로 인한 겨울철 전력수요의 증가와 국제유가, 환율 상승으로 국가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 모두의 에너지 절약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난방기기 사용의 급증으로 인해 순간 최대수요전력이 사상 최고치를 무려 12번이나 경신하는 등 겨울철 전력수요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이처럼 여름철이 아닌 겨울철에 순간 최대수요전력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지난 1992년 12월 이후 약 16년만이다.
겨울전력난이 발생한 이유는 과도한 전기난방기 사용 때문이다. 전기는 기름이나 석탄 등 1차에너지 자원에 비해 효율이 훨씬 떨어진다.
석유 10리터로 발전을 하면 실제 기름의 4리터의 에너지만 전기로 전환이 되고, 나머지 석유 6리터는 공중으로 날아갈 정도로 전기는 석유나 석탄 등 1차 에너지자원에 비해 효율이 떨어진다.
특히 올해부터는 중앙정부(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국가 전체의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정책적으로 전기난방기를 지원대상 시설에서 제외하였다.
에너지절약의 핵심은 단순한 소비절약이 아니라 소비효율 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에 효과적인 전력수요관리는 제2의 생산이며, 에너지 절약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가급적 에너지효율이 좋은 1차 에너지 사용을 장려하고, 꼭 필요한 곳에 전기를 사용하도록 노력하여 우리 모두가 에너지소비 효율을 개선하는 데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오전 10시∼12시, 오후 5시∼7시에는 난방설비의 경제적 운전을 해줄 것과 함께 가정에서도 동계난방 적정온도 유지(18∼20°C), 동계기간 중 내복입기 및 덧신신기(체감온도 3∼6°C 상승), 전기장판 및 전기요 난방온도 ‘중’ 유지, 전기장판 밑에 단열매트 깔기, 가전제품 미사용 시 플러그 뽑기 등 국민들의 자발적 에너지절약 실천이 무엇보다도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