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계를 둘로 분류하면 동물과 식물로 나뉜다. 이 중 동물은 강하고 활동적이며 공격적, 능동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반면에 식물은 약하고 여리며 고정적, 수동적인 이미지를 가진다. 아마도 동물은 먹이를 사냥해서 먹으나, 식물은 흙에 뿌리를 박고 수분을 흡수하고 광합성 등으로 영양을 섭취하기 때문에 이 같은 대표이미지가 형성된 것 같다. 하지만 식물 중에서도 동물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식물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을 식충식물이라고 부른다. 기존 식물과 전혀 다른 느낌의 이 식충식물은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식충식물의 정의 식충식물이란, 특별한 기관이 있어 곤충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 그것을 소화시켜서 양부의 일부를 얻고 있는 식물을 총칭하는 말이다. 식충식물의 종류 ▣ 네펜데스 상록 덩굴식물이며 온실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땅 위에 줄기를 뻗거나, 큰 나무에 엉켜붙는 등 자라나는 형태는 각각이다. 잎은 잎자루, 잎몸, 덩굴, 벌레잡이주머니로 이루어지는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5cm 정도로 중륵(中肋)이 길게 자라서 끝에 벌레잡이통을 만든다. 통 한쪽에 2개의 날개가 있고 긴 털이 돋으며 통 입구에 뚜껑 같은 부속체가 있으나 여닫지 않는다. 뚜껑과 통 입구에 꿀샘이 있어서 벌레를 유인하고 통의 입구는 미끄럽기 때문에 벌레들이 통 속으로 떨어지기 쉽다. 통 속에는 소화액이 분비되므로 떨어진 벌레는 소화 흡수된다. 통의 크기, 형태, 빛깔 및 무늬 등에 따라서 종류를 구별한다. 꽃은 2가화(二家花)로 지름 8mm 정도의 흑자색 단성화가 가지 끝 수상꽃차례[穗狀花序]로 밀생한다. 잎이 자라서 뚜껑이 열리면 세균이 번식하고, 펩신 외에 트립신을 분비한다. 벌레가 들어가면 통의 내벽에서 유기산이 분비되므로 소화력이 커진다. 네펜데스속에는 79종이 있는데, 각각의 개체는 변화무쌍하며 지방에 따라 고유한 모양과 성질을 지닌 것이 많다. 주로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자라는데, 특히 수마트라섬과 보르네오섬에 많은 종류가 있다. ▣ 통발과 연못이나 물웅덩이에서 자란다. 뿌리가 없고 연못에 떠서 자라며, 줄기는 약간 굵다. 잎은 어긋나고 깃처럼 깊게 갈라지며 길이 3∼6cm이다. 갈래조각은 가시처럼 가늘며 일부는 벌레잡이통이 된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4∼7개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꽃은 지름 15mm 정도이다. 포는 비늘잎처럼 생기고 화관은 입술 모양인데, 아랫입술꽃잎이 훨씬 크며 밑에 길이 약 6mm의 꿀주머니가 있다. 꽃자루는 길이 1.5∼2.5cm이고 꽃받침은 2장이며 갈래조각은 타원 모양이다. 열매는 성숙하지 않고 줄기 끝에 잎이 모여나며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지낸다. 식충식물로서 벌레잡이통에 작은 벌레가 들어가면 오므라들어서 벌레를 소화한다.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비슷한 종류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들통발(U. pilosa)과 북부지방에서 자라는 개통발(U. intermedia)이 있다. - 통발 습지와 물속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식충식물이다. 잎은 홑잎으로서 밑에서는 로제트형으로 늘어서나 줄기에서는 어긋나게 달린다. 땅위에서는 주걱 모양이 되며 물속에서는 잘게 갈라지고 선모나 벌레잡이주머니를 갖기도 한다. 벌레잡이주머니는 줄기 끝에 달리는데, 줄기 부근이나 반대쪽에 작은 출구가 있다. 출구 주변에는 털이 나는데, 이들은 곤충을 주머니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꽃은 양성화이며 총상이나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화관은 2∼5개로 갈라지고 입술 모양 또는 가면 모양이며 아랫입술의 밑부분은 꿀주머니가 된다. 수술과 헛수술은 2개씩이고 꽃받침에 달린다. 씨방은 상위(上位)이며 1실 2심피이다. 열매는 삭과(殼果)이며 종자에는 배젖이 없다. 세계에 6속 260종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3속 7종이 자라는데 벌레를 잡아먹는 것이 특색이다. 관상용으로 쓴다. 아메리카, 오스트레일이아,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벌레잡이제비꽃 벌레잡이오랑캐라고도 한다. 고산지대의 습한 암벽이나 습원에서 자란다. 높이 5∼15cm이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서 옆으로 퍼지고 긴 타원형이거나 좁은 달걀 모양이다. 빛깔은 연한 녹색이고 길이 3∼5cm, 나비 1∼2cm이며 부드럽고 안쪽으로 말리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옆면에 선모(腺毛)가 나 점액을 분비하여 작은 벌레를 잡는다. 꽃줄기는 1∼3개가 나오며 끝에 제비꽃처럼 생긴 밝은 자줏빛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다. 화관은 제비꽃 모양이거나 입술 모양인데, 윗입술꽃잎은 2갈래, 아랫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고 꿀주머니는 가늘고 길며 끝이 둔하고 길이 7∼10mm이다. 열매는 삭과(殼果)로서 둥글고 2개로 갈라진다. 식충식물로서 북반구의 한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털잡이제비꽃 식충식물로서 연못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높이 약 13cm이다. 원줄기가 있고 잎은 밑부분에 1장이 달리고 다음 2장이 마주나며 끝에서 4장이 돌려난 듯한 모양이다. 연한 녹색이고 좁은 달걀 모양이거나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 11∼18mm이다. 잎자루가 뚜렷하며 끝이 오목 들어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연한 자줏빛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약 9cm 정도의 꽃자루 끝에 1송이가 달린다.꽃자루는 1개씩 나며 끝이 많이 꼬부라지고 밑부분에 털이 난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길이 2∼4mm이다. 화관은 가늘고 입술 모양이며 꿀주머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이고 종자는 긴 타원 모양이다. 한국을 비롯하여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지방, 남아메리카의 고산지대 등지에 분포한다. ▣ 끈끈이귀개과 벌레잡이식물이며 세계에 6속 130여 종이 분포한다.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보통 선모(腺毛)가 있어 점액을 분비한다. 잎은 어긋나고 매우 드물게 돌려나는 경우가 있다. 턱잎은 있거나 또는 없다. 꽃은 양성화이고 정제화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4∼5개이고 밑 부분이 다소 붙는다. 꽃잎은 4∼5개이고 서로 떨어진다. 수술은 4∼5개, 많을 때는 20개이다.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3∼5개의 심피가 서로 붙어서 1실(室)이 된다. 2∼5개의 암술대는 서로 떨어지고 암술머리는 단순하거나 또는 분열한다. 열매는 삭과이다. - 끈끈이주걱 들판의 볕이 잘 드는 산성(酸性) 습지에서 자란다. 벌레잡이식물로 높이가 6∼30cm이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둥근 모양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5∼10mm이며 밑 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로 되어 주걱처럼 생겼다. 잎의 앞면과 가장자리에 붉은 색의 긴 선모(腺毛)가 있고 길이 3∼13cm의 잎자루 밑 쪽에는 갈색의 긴 털이 있는데, 여기서 벌레를 잡는다. 꽃은 7월에 흰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줄기 끝에 10 송이 정도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의 지름은 5∼7mm로 화관이 작다. 꽃잎은 5개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길이가 4∼6mm이며,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5개로 꽃잎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3개인데 각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익으면 3개로 갈라지며 길이가 4∼5mm이다. 종자는 양끝에 꼬리 같은 돌기가 있다. 작은 벌레가 선모에 닿으면 붙어서 움직이지 못 하는데, 이때 잎이 오므라지면서 선모에서 소화액이 분비되어 벌레가 소화된다. 북반구의 온대에서 난대에 분포한다 - 긴잎끈끈이주걱 습지에서 자란다. 잎이 곧게 서고 잎자루와 함께 길이 5∼15cm, 나비 4mm 정도이다. 잎은 뭉쳐나며 줄 모양의 거꾸로 선 바소꼴로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잎 가장자리에 점액을 분비하는 털이 나 있으며, 밑부분이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꽃줄기는 높이가 10∼25cm이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윗부분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4∼5mm로서 5갈래로 깊이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둥글며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5개이고 주걱 모양이며 흰색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각각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타원형이며 종자는 검은색이다. 한국(북부)을 비롯하여 북반구 온대 일대에 분포한다 - 끈끈이귀개 들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벌레잡이식물이다. 땅 밑에 지름 6mm 정도의 둥근 덩이줄기가 있고,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높이가 10∼3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의 길이가 1cm 정도이다. 잎몸은 초승달 모양으로 길이가 2∼3mm, 폭이 4∼6mm이고 위로 굽으며 앞면에 긴 선모(腺毛)가 있는데, 여기에서 점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잡는다. 잎자루는 길이가 8∼17mm이다. 꽃은 6월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흰색으로 피는데 꽃차례는 잎과 마주난다. 꽃차례는 꽃줄기와 더불어 길이가 2∼6cm이다. 꽃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길이가 6∼8mm이고,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잘게 갈라진 가장자리 끝이 줄 모양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서 각각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3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타원 모양이고 양끝이 좁다. 한국(전남의 바닷가), 일본, 타이완, 중국의 난대에 분포한다. - 벌레잡이풀 습한 열대 정글숲에서 자란다. 길이 4∼15m이다. 줄기는 덩굴성으로서 관목을 타고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고 잎몸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30cm, 나비 5∼10cm이다. 잎자루는 길이 5∼15cm로 좁은 날개가 있다. 잎의 가운데맥이 덩굴처럼 가늘고 길게 자라 그 끝이 주머니 모양이 되는데, 이것으로 들어오는 곤충을 잡아 소화, 흡수한다. 아래쪽 주머니는 달걀 모양이고, 바깥쪽에 2개의 지느러미처럼 생긴 날개가 있다. 위쪽 주머니는 깔때기 모양이며 바깥쪽에 있는 2개의 날개는 폭이 좁다. 높이 10∼30cm, 나비 7∼15cm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8월에 익는다. 번식은 씨뿌리기나 꺾꽂이로 한다. 다른 녹색식물처럼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드나, 대부분 질소가 모자라는 토양에서 자라므로, 잡힌 곤충을 이용하여 모자라는 질소를 보충한다. 곤충은 밝은 색깔, 강한 냄새, 주머니 가장자리에서 분비하는 꿀 등에 이끌려 다가온다. 곤충이 주머니 안쪽으로 들어가면 미끌미끌한 벽에 미끄러져 물이 고여 있는 안쪽으로 떨어진다. 떨어진 곤충은 미끄러운 표면 때문에 빠져나오지 못한다. 안에 고여 있는 물에는 식물체가 분비한 소화효소가 섞여 있어 곤충을 소화한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싱가포르 등의 원산지에서는 민간요법에 약으로 쓴다. 말레이시아, 수마트라섬, 뉴기니섬 등지에 분포한다. - 벌레먹이말 고인 물속에서 자란다. 길이 6∼25cm이다. 뿌리가 없고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마디에서 6∼8개의 잎이 돌려난다. 잎몸은 바구니처럼 생기고 길이 4∼5cm로, 조개처럼 여닫으면서 들어오는 벌레를 소화, 흡수한다. 잎자루는 쐐기꼴이고 끝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꽃은 8월에 물 위에서 녹색으로 피고 그날 시든다. 희귀 식충식물로서 한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 파리지옥 이끼가 낀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20∼30㎝이다. 비늘줄기처럼 생긴 뿌리줄기가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4∼8개가 뿌리에서 돋아나고 길이 3∼12cm이며 잎자루에 넓은 날개가 있다. 잎은 둥글고 끝이 오므라들며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긴 털이 난다. 주맥을 중심으로 양쪽이 닫아져 조개처럼 잘 합쳐진다. 잎에는 많은 선(腺)이 있어 벌레들을 유혹하고 3쌍의 감각모(感覺毛)가 있어서 그 중의 어느 것이든지 벌레가 2번 닿게 되면 잎의 양면이 갑자기 닫히며, 안쪽에 돋은 선에서 산과 소화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분해, 흡수한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꽃줄기 끝부분에 10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식충식물로서 관상용 또는 교재용으로 재배하는데, 물이끼를 화분에 심고 물에 늘 젖도록 해준다. 여름에는 밖에서 반쯤 그늘지게 해주고 겨울에는 얼지 않도록 보호한다. 번식은 꽃이 진 다음 갈라 심거나 종자로 한다.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최종편집:2025-05-19 오후 06:39:33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