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교통사고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운전자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성주경찰서(서장 정원식)에 따르면 올 1월부터 6월 말까지 지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는 총 227건으로 전년 동기 212건에 비해 7.1%(15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유형을 분석해 보면 물적피해 사건은 줄어든 반면 인명피해 사건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 상반기 발생한 물피사고는 74건으로 전년 대비 2건 줄었다. 하지만 인피사고는 153건으로 전년도 136건 보다 12.5%(17건) 늘었고, 이 가운데 사망이 10명으로 25%(2명) 늘었고 부상도 223명으로 15.5%(30명) 증가했다.
이 달 들어서도 2주 동안 18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2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하는 등 피해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문제다.
올해 발생한 교통사망사고의 원인으로는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1명 △중앙선 침범 2명 △안전운전 불이행 9명으로 대다수 운전자의 부주의에 기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에서는 지난해 7월부터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지난해 12월엔 관내 교통신호기에 대한 점멸신호를 대폭 늘려 지역민의 편리한 교통생활과 불필요한 대기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 한다고 밝혔다.
이는 원활한 교통소통을 통해 선진 교통질서를 정착시키고 신호대기로 인한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일부는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가 양보하고 법규를 준수하는 교통의식 선진화가 전제되지 못한 상황에서 교통운영 체계만 선진화한다는 것이 시기상조’라는 우려도 끊이질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지난 12일 점멸신호로 운영되던 성밖숲사거리 교차로에서 3중추돌 사고가 발생해 2명이 사망하는 등 최근 우려가 사실로 확인되는 사건이 연잇자 점멸신호 운영구간 전반에 대한 안전성 진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일었다.
이에 경찰은 사거리 전반에 대한 정밀 진단을 통해 성밖숲사거리 등 사고발생이 우려되는 구간은 종전 신호체계로 환원키로 했다.
더불어 교통질서를 확립하고 교통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음주운전·중앙선 침범·가속 등 주요 사고유발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들의 안전운전 의식 함양을 위해 과속 우려구간에 대한 이동식 카메라를 집중 운영하고, 각 지역별로 상시 음주단속을 강행하고 있다. 또 졸음운전이 우려되는 자정부터 새벽 4시까지는 주요 도로구간에 순찰차를 이용한 심야 거점근무를 실시하고 있다.
교통취약계층인 노인 등을 대상으로는 경로당 등을 직접 방문해 교통안전교육을 중점 실시함과 동시에 신발과 가방 등에 부착하는 야광스티커를 배부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력을 집중 투입해 단속과 제제 등으로 교통사고 저감에 나서지만 이는 단기적인 효과에 그칠 뿐”이라며 “결국엔 운전자의 안전의식이 바로 서지 않으면 사고의 위험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다”고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의 성숙한 안전의식 확립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