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기사를 통해 자유 탐구의 방법 중 탐구 실행 단계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탐구한 내용을 정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나의 탐구 과정과 결과를 발표하는 탐구 결과 발표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탐구결과 발표하기
과학 수업 시간에 모둠별로 자유 탐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우리 모둠에서는 물을 넣은 직후부터 4시간 간격으로 찍은 사진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콩나물의 모습을 역할극으로 표현했습니다.
먼저 탐구 주제를 큰 글씨로 제시하고, 실험 계획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다음 친구들이 콩나물로 변신해 역할극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각자 맡은 역할의 콩나물이 어떻게 되었는지 설명하고 결론을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했습니다.
☞ 과학 시간을 이용하는 자유 탐구 활동의 경우, 학급에서 수업 시간을 통해 탐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그밖에 개인적으로 탐구한 경우는 친구들이나 식구들 앞에서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습니다.
학교에서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자유 탐구는 보통 1년에 1번 정도, 2주∼한 달 정도의 기간을 가지고 이루어질 것입니다. 오랜 시간 동안 탐구하고 연구한 결과를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고 공유하는 값진 시간이 바로 이 시간입니다.
또 자신이 탐구하지 못한 주제를 탐구한 친구들의 발표를 주의 깊게 살펴보면 간접 경험을 통해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또 다른 궁금한 점을 찾을 수 있는 관찰 기회가 됩니다.
☞ 탐구 발표를 할 때에 주의해야할 점은 탐구 과정이나 결과를 줄줄 읽어 내리는 방법은 피하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듣는 사람이 쉽게 이해하기도 어려울뿐더러 발표하는 사람에게도 자신의 탐구 결과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되지 못 합니다.
위의 예와 같이 역할극을 할 수도 있고,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를 이용해 프레젠테이션 화면으로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노래나 퀴즈를 이용해 재미있게 구성하거나 그림, 사진 등을 만화나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탐구 주제에 따라서는 각자 관찰한 결과를 가지고 토론을 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습니다. 과학 탐구는 쉽고 재미있게 다른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재미있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 창의성을 발휘해 봅시다.
지금까지 자유 탐구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교과서나 선생님이 제시한 방법은 하나의 예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같은 주제라도 직접 탐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의 특성에 따라 탐구 계획이나 방법, 보고서의 발표 방법 등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자유롭게 탐구해 보세요. 작은 호기심을 가지고 자연을 보는 큰 눈을 키우는 멋진 꼬마 과학자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