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이 가까워지면서 우편물류 대이동이 시작됐다. 우정사업본부는 올해 설 명절 소포우편 물량이 1천 만개를 넘어 설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난 17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17일간 완벽한 소통을 위한 비상근무체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올 설은 잦은 폭설과 구제역 발생 등 전반적인 사회분위기 침체로 설 인사를 선물로 대신하려는 사람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소포 우편물량은 지난해 설 명절의 972만 개 보다 약 40만 개 늘어난 1천11 만 개(하루 평균물량 약 84만 개 )가 접수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장 많은 날에는 평소 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하루 130만 개가 몰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물량이 1천만 개에 달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우정사업본부는 9개 지방체신청과 전국 246개 총괄우체국 등 256곳에 `설 우편물 특별소통 대책본부`를 설치해 매일 우편물 처리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24일부터 26일까지(3일간)는 전체 물량의 37%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국 우체국에서는 3천500여명의 소통인력을 추가로 배치하고, 소포 운송용 파렛 6만5천 대와 일일 2천여 대의 차량 등을 집중 투입해 우편물을 신속히 배달키로 했다.
특히 우편물류시스템(PostNet)과 전국 우체국의 물류 상황 및 운송차량 운행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우편물류종합상황실을 적극 활용해 폭설에 따른 기상악화로 소통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성주우체국 관계자는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접수되는 소포우편물의 정시 배달을 위해 받는 사람의 주소 및 우편번호를 정확히 기재하고, 사람이 없을 것에 대비해 연락 가능한 사람의 전화번호도 함께 기재해 줄 것"과 "파손되기 쉬운 소포우편물은 스티로폼이나 에어패드 등을 충분히 사용해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포장하고 `취급주의` 표시를 반드시 부착할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1월 31일 이후에는 귀성과 연휴로 집과 사무실 등을 비우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패성 있는 식품 등은 적어도 1월 27일(목)까지 접수할 것" 등 유의사항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성주우체국은 2월 1일부터 농산물에 대한 우체국 택배요금이 인상될 방침이라고 밝혔다.【표 참조】
지역농가의 물류비 부담 해소 및 도농간의 직거래 활성화를 위해 지난 3년 간 택배요금을 동결해 왔으나 최근 대내외적 원가 상승 등으로 인한 물류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지역에서 추진하는 참외10㎏ 박스 정착을 위해 10㎏ 택배요금은 전년도와 비슷한 요금 폭으로 조정했으나, 파손율이 높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고중량(20㎏ 이상)은 인상폭을 현행 수준에 맞게 조정한 점이 눈에 띈다. 특히 우체국 접수와 방문 접수 시 요금을 이원화시킴으로써 보다 저렴한 요금제 도입을 통해 농가 부담 해소에 일조 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