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는 옛날부터 구전으로 내려온 소박한 노래로서 언제, 어디서, 누가 만들어졌는지는 분명치 않아도 몇 세대를 내려오는 동안 고쳐지고 다듬어져 민족 특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있습니다.
크게 우리나라민요를 구분하면 통속민요와 토속민요로 나누어 볼 수 있답니다.
통속민요는 좀 더 세련되어 다듬어진 반면 토속민요는 소박하고 꾸밈이 없는 편입니다. 전문적인 소리꾼이 전라도 민요, 경기도 민요, 평안도 민요 중심인 까닭에 다른 지역의 시김새는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것도 있어 토속 민요의 가치는 더욱 높다고 볼 수 있겠네요.
* 토속민요는 일반서민들이 평상시에 부르던 노래로서 가락이 단순하고 소박하며 국한된 지역에서만 부르며 향토적인 노랫말로 되어 있습니다.
그 종류는
1.농요(농사지으며 부르던 노래-모내기 노래, 방아찧는 소리 등)
2.어요(고기잡이하며 부르던 노래-노젓기노래, 그물푸는 소리 등)
3.기타노동요(농업과 어업을 제외하고 부르던 노래-나무내리는 소리, 베틀소리 등)
4.의식요(결혼이나 장례식에서 부르던 노래-발인소리, 달구소리 등)
5.부녀요(부녀자들이 집안에서 부르던 노래-시집살이 노래, 애기 어르는 노래, 신세한탄가 등)
6.전래동요(어린이들이 놀면서 부르던 노래-대문놀이 기와 밟기, 남생아놀아라 등)
* 통속민요는 이미 넓은 지역으로 전파되어 일반대중들이 많이 알고 부르며 각종 무대 및 교과서에 등장하고 있는 대중예술음악으로 놀리 성장하고 있는 음악입니다. 주로 전문적인 소리꾼들이 부르는 민요로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민요라고 볼 수 있겠지요?
그 종류로는 아리랑, 농부가, 육자백이, 수심가 등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민요에 대한 설명은 크게 우리나라의 민요를 두 갈래로 나눠 구별한 것이고 지역에 따라 나눠 볼 수 있겠습니다. 지역에 따라 경기민요, 서도민요, 남도민요, 동부민요, 제주민요로 나눠진다.
다음호에서 이들 지역의 민요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함께 각 지방민요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