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민요는 일반적으로 다른 지방의 민요에 비하여 기악반주를 가진 것이 별로 없고 서도소리의 창법은 좀 특수하여 애수적이고 감상적이다.
콧소리로 얕게 탈탈거리면 떠는 소리, 큰 소리로 길게 죽 뽑다가 갑자기 속 소리로 콧소리를 섞어서 가만히 떠는 소리 등이 특징이다.
서도는 한반도의 서북지방 즉 평안도와 황해도지방을 말하는데, 그 선법은 완전5도 위에 조금 낮은 단3도를 쌓아 놓은 모양(수심가토리-레미솔라도)을 하고 있는 것이 비교적 많다.
㉠평안도 - 수심가·엮음·수심가·긴아리·자진아리(타령)·안주 애원성·배따라기·자진 배따라기등.
㉡황해도 - 산염불·자진 염불·긴 난봉가·자진 난봉가·사리원 난봉가·병신난봉가·숙천 난봉가·몽금포타령등.
㉢평안도의 민요는 수심가가 그 대표인데 대개 사설이 길고 합창으로 된 받는 소리가 없어서 집단적인 노작가와는 관계가 없다.또 장단도 일정한 장단이 없이 사설에 맞추어 적당히 치는 것 특징이다.
황해도지방의 민요이다. 몽금포는 황해도 장연군 장산곶 남쪽에 있는 항구로 어업이 성행하고 아름다운 백사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몽금포타령은 이곳의 정경과 어부들의 생활을 묘사하고 있다. 장단은 중모리장단으로 되어 있고, 네 장단에 메기고 두 장단으로 받게 되어 있다. 메기는 부분은 길고 합창으로 받는 부분은 짧은 편이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나더니 금일도 상봉에 님 만나 보겠네.
(후렴) 에헤이요 에헤이요 에헤이야 님 만나 보겠네.
갈 길은 멀구요 행선은 더디니 늦바람 불라고 성황님 조른다.
님도 보구요 놀기도 하구요 몽금이 개암포 들렀다 가게나.
바람새 좋다고 돛 달지 말고요 몽금이 앞바다 놀다나 가지요.
북소리 두둥둥 쳐 울리면서 봉죽을 받은 배 떠들어 오누나.
무정한 우리 님 말없이 가더니 봉죽을 받고서 돌아를 오셨네.
임 실러 갈 적엔 반 돛을 달고요 임 싣고 올 적엔 온 돛을 단다네.
가는 임 야속타 속태지 말고요 갔다가 올 때가 더 반갑답니다.
장산곶 마루에 새 소식 들리니 원포귀범(遠浦歸帆)에 정든 임 오셨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