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민요는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를 뜻하며 이들 전라도 지방의 민요는 서도에 비하여 매우 특징 있는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우선 발성법이 경기의 서정성(lyric), 서도의 콧소리(nasal)에 비하여 극적이고 굵은 목(throaty)를 눌러내는 소리다. 격하게 떠는 소리나 꺾는 소리를 많이 써서 구성진 가락을 표현한다.
-새타령,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농부가, 자진 농부가, 흥타령, 진도 아리랑,
날개타령, 까투리 타령, 둥가타령, 개고리타령, 강강수월래
-전라도 민요의 장단은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한다.
-중모리(흥타령 긴 농부가등), 중중모리(개구리타령, 자진 농부가, 국거리와 혼용되기도 함)가 많이 쓰이고, 드물게 진양조(육자배기)와 자진모리(까투리타령)가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남도 민요이다. 진도아리랑은 전라도의 아리랑이다. 그래서 전형적인 전라도의 음악 토리로 되어 있다.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꺽는 음이라는 세부분의 음을 뼈대로 하여 음계가 구성되고 발성법이나 가사 발음법도 그런 음들을 잘 표현하도록 발달하였다. 장단은 세마치 장단이지만 조금 빨리 부를 때에는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 아리랑 응응으응 아라리가 났네
(1) 문경 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 난다
(2) 만경창파에 두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디여라 노를 저어라
(3) 만나니 반가우나 이별을 어이해 이별이 되랴거든 왜 만났던고
(4) 노다 가세 놀다나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놀다 가세
(5) 치어다 보니 만학은 천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로구나
(6) 님이 죽어서 극락을 가면 이내 몸도 따라가지 지장보살
(7) 왜 왔던고 왜 왔던고 울고 갈 길을 내가 왜 왔던고
(8) 다려가오 날 다려가오 우리 님 뒤 따라서 나는 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