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학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생활 속에서 자녀를 창의적으로 이끌어가는 방안을 몇 가지 살펴보고자 한다. 생활 속에서의 작은 실천이지만, 학부모들의 끈기있는 지속적 노력과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1. 자녀의 지능과 창의성을 결부하여 단정하지 마라.
지능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요인에 불과하다.
2. 자유스럽게 행동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라.
부모들이 학생들의 행동을 제한하기 위한 규칙을 세워 놓고 그 틀 안에서만 행동하도록 강요하는 경우가 많다.
3. 자녀의 실수를 솔직히 인정하고 너그럽게 행동하라.
호기심과 탐구심의 발로에서 나온 실수는 즐거운 마음으로 너그럽게 이해해 주어야 한다.
4. 웃음으로 가득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라.
웃음은 사람들의 마음과 두뇌의 긴장을 풀어주고 창의력을 높여 준다. 부모가 창의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은 자녀들에게 그대로 전달된다.
5. 혼자서 생각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라.
학생들이 어떤 일에 열중하고 있을 때는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학생들에게 혼자만 보낼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마련해 주지 않으면 창의적인 활동이 활발히 진행될 수 없다.
6. 창의성을 꺾는 말이나 행동은 금물이다.
긍정적인 언어, 격려와 칭찬 등은 자녀들이 자신감을 갖고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도록 한다.
7. 식탁에서도 토론하는 시간을 마련하라.
식탁에서의 교육은 자녀들이 성장해서도 잊지 못하는 산 교육의 장이다.
8. 부모가 창의적인 행동의 모델이 되어라.
학생들은 대부분의 행동을 부모나 형제, 또는 친구 등의 행동을 보고 그대로 모방하면서 습득한다. 문제가 있다고 하는 학생들을 보면, 학생들의 문제라기보다는 부모의 문제인 경우가 허다하다.
9. 보상에 주의하라.
칭찬이나 보상은 어린이의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또 그들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심어주는 필수 요소이다. 그러나 어린이가 보상을 기대하고 칭찬받는 행동만 할 때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10. 풍부한 경험을 시켜주어라.
자연을 통한 경험은 보다 풍부한 탐구능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산 교육이다. 유대인들은 어린이가 6개월이 지나면 어린이들을 등에 업고 전국을 순례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