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맞벌이, 다문화 가정, 조손 가정 등의 이유로 가정 내에서의 자녀교육 공백이 늘어나면서, 하교 후 나홀로 있는 청소년들이 비행 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고 결식 및 학습 부진을 해소하며 전인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전국 단위학교별로 방과후교육 활동을 활발하게 운영하며 가정과 공교육의 보완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사교육비 경감책의 대안으로 떠오른 연중돌봄학교의 현주소를 조명해 봄으로써 `떠나는 학교`가 아닌 `돌아오는 농촌 작은 학교`의 희망의 계기를 마련코자 한다.【편집자 주】 게재순서 ■ 농촌지역 학부모의 효자 `연중돌봄학교` □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 □ 방과후 열기로 달아오른 교육계 □ 돌아오는 농촌 작은 학교 희망 만들기 최근 일선학교에서 중점적으로 운영 중에 있는 연중돌봄학교가 내년부터 전면 도입되는 주 5일수업제를 앞두고 단위학교 별로 `나홀로 학생`이나 출석 희망학생을 위한 돌봄 프로그램 개발 보급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농산어촌 연중돌봄학교 사업이란 면 지역 소재 학교 학생에 대해 1년 365일 학생들을 지도함으로써, 학생 이탈을 방지하고 학생에 대한 교육복지 지원을 강화해 도·농 간 교육격차를 완화시키고자 하는 사업으로, 전국의 86개 군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운영 중에 있다. 농촌지역은 사회·교육·경제적 배경 등이 대도시에 비해 열악하며, 출산기피현상과 이농현상 등이 겹치면서 학생수가 급속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편부모가정 및 조손가정이 늘어나면서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과 학습부진아가 많을 수밖에 없다. 농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지역 내 학부모들은 자녀의 교육활동을 대부분 학교교육에 의존하는 실정이기 때문에 학교가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 시설이 부족한 농촌에서는 학생들이 방과 후에 갈 곳이 없으며 이러한 학생들을 방치할 경우 학생들은 비행에 빠지기 쉽게 되고, 도시와 농촌 간의 교육격차는 더욱 심화될 소지가 있다. 관내 8개교(초 4, 중 4) 돌봄학교 운영 학교교육의 활력 및 사교육비 경감 일조 2004년 2월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2. 17 사교육비 경감대책을 통해 사교육 수요를 공교육 체제 내로 흡수하기 위한 주요대책으로 방과 후 교육활동을 제시하며 전국적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특히 농산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 방과 후에 양질의 교육과 보호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됐다. 성주군 관내에는 초등학교 4개교(용암초·선남초·도원초·대동초)와 중학교 4개교(가천중·용암중·수륜중·명인중)등 총 8개교의 농산어촌 연중돌봄학교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고,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며 작은 시골학교의 저력을 과시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현재 일선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돌봄학교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기본생활안전망 구축 △기초학력 신장 △심리·정서 발달 △사회문화적 소양 증진 △특기 적성 계발 △사업 지원 등 6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기본생활안정망 구축이란 기본적 교육복지가 충족되는 환경 속에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학교가 가정의 기능을 보완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 사회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보조인력 및 자원봉사 인력을 활용하기도 한다. 용암초에서 실시하고 있는 중식 및 우유 지원, 미용자원봉사, 의료비 지원, 용암파출소 순찰차 등하교 시 배치 등이 이에 속한다. 기초학력 신장 영역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국가 수준의 해당 학년 기초학력 이상을 갖출 수 있도록 학습결손 예방 및 학습결손으로 인한 자신감 상실 회복,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해 기초학력 부진을 조기에 발견해 학습능력을 증진시키고, 학습흥미를 유발하며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한 적정규모의 학생수 유지로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유도한다. 선남초에서 실시하는 기초튼튼교실, 야간학력교실, 영어캠프, 영어화상강의 등이 있다. 심리·정서 발달 영역에서는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해 학교가 학생에게 통합적·지속적 심리정서 발달 지원을 제공하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교사 및 학부모 연계를 통해 학생의 문제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가정의 취약한 교육환경으로 인한 심리행동상의 문제를 극복하도록 전문적 심리 진단 및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대동초에서는 텃밭가꾸기, 가이던스심리검사, 몸튼튼마음튼튼, 테마졸업식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소양 증진은 농산어촌 학생이 가정 및 지역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지역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사회 행사 등을 이용해 동료 효과 향상을 위한 학생간 교류를 통해 공동체 의식의 함양에 중점을 둔다. 도원초에서 실시하는 고장지킴이봉사활동, 건강걷기, 연극관람, 도시문화체험, 가야산 생태학습이 등이 이에 속한다. 특기·적성 계발 영역에서는 농산어촌 학생의 특기와 적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수륜중에서는 이를 위해 미술, 관악반 동아리활동, 음악줄넘기, 전통유희반, 한자반 등을 운영하고 있다. 사업 지원에서는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의 욕구를 반영해 실제적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농산어촌 지역의 가치를 살리고 학교의 특성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며, 지역교육공동체 구성 및 지속적 전달체계 마련을 위해 학교 간 연계운영 및 학교 지역 간 연계운영을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봄학교 프로그램은 학교교육 활동의 활력소이며, 다양하고 저렴하며 질 높은 강좌를 학생 수요에 따라 개설함으로써 학교 밖의 사교육 수요를 학교 안으로 되돌리는 정책으로서 학생은 물론 학부모들에게 톡톡한 효자노릇을 하며 호응을 얻고 있다. 취재1팀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최종편집:2025-05-21 오후 03:24:31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