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고등학교(교장 김성렬)가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향상도 우수100대 학교`에 이어 `전국 7대 우수학교`에 이름을 올리며 지역위상 제고 및 최상위 명문고 입지를 굳혔다. 지난 1일 발표된 2011년 국가수준 초·중·고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성주고는 학력 향상도 부문에서 전국 영어 4위, 수학 22위, 국어 29위를 기록하며 `향상도 우수100대 학교`에 선정됐으며, 모든 과목에서 고루 높은 향상도를 보여 `전국 7대 우수학교`에 선정되는 영예도 함께 안았다.【표 참조】 교과별 향상도는 올해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성취도 점수를 입학 당시(중학교 3학년) 성취도 점수와 비교해 산출되며, 이를 통해 학교교육을 통한 학력 향상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교과부는 이를 토대로 `잘 가르치는 학교 모델`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교과부는 "우수학교 선정과정에서 현장방문 등을 통해 감독 소홀 등 특이사항이 발생한 학교는 제외했으며, 향후 유사 사안 발생 학교에 대해서도 향상도 우수학교에서 제외하고 교과부 시도교육청의 각종 재정지원사업(학교단위 성과급 등)도 배제키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성적 조작 등 비위교원에 대한 엄중 처벌 등 평가관리 및 결과의 신뢰성을 더욱 제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우수100대 학교에 포함된 유형별 학교 비율을 살펴보면, 자율형공립고(9.5%) > 자율형사립고(9.3%) > 일반고(6.7%) > 특목고(4.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장이 교사 및 학생 풍토, 학부모 관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록 전 과목에서 향상도가 높게 나타나 학업향상에 있어 학생 및 교원의 긍정적 인식의 중요성이 확인됐다. 주목할 부분은 향상도 우수학교의 공통적인 특징은 명문대 진학을 대비한 소수학생 중심의 교육이 아닌 모든 학생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체험활동, 상담 진로교육, 학습동기 제고프로그램 등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학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성주고는 기숙형공립고의 장점을 살려 기숙사 기반의 학습지원 프로그램과 교과교실제 2+1체제의 수준별 이동수업 및 무학년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등 기숙사와 연계한 수준별 학습 프로그램 운영이 효과를 극대화했다는 분석이다. 김 교장은 "평소 도교육청, 지자체, 동창회, 지역주민들의 많은 격려와 지원에 감사 드리며, 이번 성과는 전 교직원의 헌신적인 노력과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밝혔다. 성주고 2년 121명 전원 기초학력 미달 0% 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 효과 극대화 성주고는 이번 학업성취도 평가에 2학년 121명 전원이 응시해 국·영·수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은 0%, 보통학력 이상은 국어 95%, 영·수 100%의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다. 성주여자고등학교(교장 천해찬)는 보통학력 이상 국어 80.7%, 수학 75.4%, 영어 81.3%로 나타났으며, 기초학력 미달 국어 0.6%, 수학 4.1%, 영어 2.3%로 집계됐다. 교과부는 우수100대 학교에 특성화고는 포함하지 않았으며, 성주여고는 특성화고로 분류되고 있어 이번 선정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학업성취도평가는 학생들이 국가가 제공한 교육과정을 얼마나 잘 따라오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올해 평가는 지난 7월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90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초등학교 6학년의 경우 지역교육청의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전국 178개 교육지원청의 20위권 이내에 청도(3위), 성주(9위), 경산(11위)교육청이 포함됐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울릉·청도교육지원청이 전 교과에서 `0`으로 전국 178개 교육지원청에서 1위, 성주교육지원청은 11위를 차지했다.
최종편집:2025-05-22 오후 01:35:30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페이스북포스트인스타제보
PDF 지면보기
오늘 주간 월간
출향인소식
제호 : 성주신문주소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읍3길 15 사업자등록번호 : 510-81-11658 등록(발행)일자 : 2002년 1월 4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고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45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최성고e-mail : sjnews1@naver.com
Tel : 054-933-5675 팩스 : 054-933-3161
Copyright 성주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