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12월 5일은 역사적인 날이다. 대한민국이 2차 대전 탈(脫)식민지국가론 최초로 `무역 1조 달러 클럽`의 멤버가 된 순간이다. 1948년 건국한 지 63년,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세워, 수출주도형 경제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지 50년만이고, 수출1억 달러를 돌파한지 47년 만에 세계에 8개국뿐인 `무역 1조 달러 클럽`에 대한민국이란 이름을 올린 감명 깊은 날이다.
62년 세계 수출 순위 104위 5600만 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이 50년 만에 수출규모가 약 1만 배나 증가한 수출 5150억 달러, 수입 4850억 달러, 무역 1조 달러로 경제선진국에 진입했다는 상징적인 날이다. 1조 달러(1,000,000,000,000), 동그라미가 무려 12개가 붙는다. 돈의 규모가 얼마만큼 일까? 1달러 지폐를 가로로 늘어놓으면 지구 3370바퀴(15억5900만km)를 도는 거리이다.
이런 쾌거를 이룬 데는 자유, 민주, 시장경제 도입과 정부의 수출드라이브 정책이 큰 역할을 했겠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우리민족의 자랑스런 젓가락 문화도 한 몫을 했다고 본다. 왜냐하면 한국수출에 1위는 반도체, 세계반도체시장에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D램 메모리가 35.4%, 21.5% 로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수출2위는 자동차, 3위 선박 산업, 그 다음이 컴퓨터, 무선 통신기기, 의류 등이다.
젓가락을 쓰는 나라는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가들로 세계인구의 30% 정도로, 포크 문화권과 비슷한 비율이다. 의외로 인도처럼 손가락을 사용하는 인구가 가장 많은 40%라 한다. 척 보기에도 젓가락 사용이 제일 지능적임이 틀림없다. 한국 사람의 손재주로 상징되는 `젓가락 문화`를 개발하면 세계 제일이 될 수 있다는 `젓가락으로 들어 올린 지구`라는 책이 나오기도 했다.
이런 자랑스런 문화가 요즈음 점점 사라지는 것 같아 안타까운 심정에서 이 글을 쓴다. 전 세계 26개국, 세계인구의 30%인 약 20억여 명이 사용한다. 그 가운데 80%인 한국과 중국, 일본이 대표적이다. 그 가운데 쇠 젓가락을 쓰는 나라는 한국이고, 쇠 젓가락으로 참깨를 집는 민족은 한국인뿐이다. 한국은, 中·日을 제치고 손기술 분야 으뜸이다.
손기술의 극치인 인쇄기술도 세계최초라는 1445년 구텐베르크 보다, 211년이 빠른 1234년
(고려 고종 21년)부터 41년 사이에 동활자를 사용하여 상정고금예문 50권을 인쇄하였다. 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 `이 책을 고종 21년 금속활자로 인쇄하다`라고 기록이 되어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최초로 금속활자를 사용하였던 것이다. 다만 당시 유물이 전해지지 못한 것이 애석한 일이다. 다행히 고려 우왕 3년(1377년)에 충주 교외인 흥덕사에서 주자 간행한 책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현존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심체요철이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요즈음 한국인이 잘하는 스포츠 종목들이 많다. 손 감각이 필요한 양궁, 핸드볼, 야구, 골프
등 구기 종목이다. 구기 종목은 올림픽과 각종 세계선수권대회의 상위권을 석권한지 오래되었고, 세계적인 선수들이 포진해있다. 구기종목과 정밀한 손작업이 필요한 반도체와 정보통신분야와 정밀 용접의 조선 산업과 등 수출효자종목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한국인의 탁월한 손재주가 세계 1등의 밑바탕이라는 것이다.
쇠 젓가락을 사용하는 한국인은 김치를 찢을 수 있을까? 딱 붙어있는 깻잎, 미끈미끈한 묵, 작고 표면이 미끄러운 콩자반 등을 자유자재로 먹는다. 벽안의 외국인들이 6~7세 어린이가 가는 쇠 젓가락질 하는 모습을 보고 예술이라고 감탄할 정도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은행원들의 지폐 세는 것을 마술 같다고도 했다.
젓가락의 문화는 약 2, 3천 년 전 중국에서 나무의 잔가지를 사용한 것이 시초며 그 후 대나무를 이용했다. 한국 역사상 쇠 젓가락이 나타난 시기는 6세기로 백제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중 하나였다. 젓가락문화권에서 대부분의 나라가 나무를 사용하는 데 비해 한국은 왜 쇠일까.
다양한 기원설을 살펴보자면 먼저 나무보다 금속이 경제적이다. 쇠의 경우 오랫동안 사용해도 원형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위생부분에서도 월등하게 앞선다. 금속 중 특히 동이나 은젓가락은 음식에 독성분이 있는지 판별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에는 양반 등 고위계층에서는 독살 위험을 방지하고자 동과 은으로 만든 수저를 주로 사용했다.
한국인에게 `젓가락 DNA`가 있다는 말이 실감난다. 전문가에 의하면 젓가락질은 손가락에 연결된 30개의 관절과 5-60개의 근육이 동시에 움직인다. 특히 쇠 젓가락은 힘을 더 들여야 한다. 손을 자주 움직이면 뇌의 두정엽을 활발하게 하고 신경을 순환시켜 치매 예방에 좋다고 한다.
세계적 지능연구 전문가인 영국 얼스터대학 리처드 린 교수와 핀란드 헬싱키대학 타투 반하넨 교수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인의 평균 지능지수가 IQ 106으로 세계 185개국 중 1위라고 한다. 젓가락 사용이 뇌세포의 발달을 불러와 한국인의 두뇌가 손놀림과 관련된 뇌신경 세포의 연결망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촘촘하고 긴밀하게 연결이 되어있다고 한다. 젓가락이 두뇌발달을 촉진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2005년 EBS다큐멘터리 `교육이 미래다?두뇌전쟁의 비밀, 손` 편에서 집중력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실험을 공개하였다. 4명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에게 나무젓가락과 쇠 젓가락, 포크를 사용하여 한 쪽에 놓여있는 강낭콩을 다른 접시로 옮기게 하고 이 때 일어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정서와 기억력을 담당하는 우측 측두엽의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포크보다 나무젓가락은 20% 이상, 쇠 젓가락은 30% 이상 뇌가 더 활성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