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지는 독서토론 주제: 행복한 왕자는 진짜 행복한 것 맞아?
★ 반론
△ 반대(이현세,우창엽): 행복은 마음에서 오는 것이라고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행복의 조건들이 있습니다. 배가 너무 고플 때, 몸이 건강하지 못할 때, 추운 날씨에 당장 잘 곳이 없을 때, 사랑하는 사람이 없을 때 우리는 불행합니다. 불행의 조건들이 줄줄이 있을 때도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라고 웃을 수 있을까요? 행복은 남이 정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기준은 알고 보면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에 의해 생각되어져 온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 재반론
○ 찬성(이혜주,서명규): 우리가 보통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조건들은 분명 있습니다. 건강, 돈, 화목한 가정, 뛰어난 성적, 잘생긴 외모 같은 것 들입니다. 하지만 아주 부자들 중에도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행복하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행복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고 해서 행복할까요? 행복한 마음 위에 그러한 조건들이 더해지면 더욱 행복하겠지만, 가장 우선적인 것은 행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긍정적인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 반대(이현세,우창엽): 찬성 측에서는 우리 반대측에게 봉사활동이나 성금을 내 본적 없는 사람이라서 나눔의 기쁨을 모른다고 말씀하셨는데 그것은 근거도 없는 비난이고 논거로써도 억지스럽습니다. 우리는 행복한 왕자의 행복이 베풀 때 일시적으로 느낀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불행했다는 것을 주장한 것입니다.
★ 최종변론
○ 찬성(이혜주,서명규): 행복이란 마음먹기에 달려있습니다. 사람들은 행복을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들이 있다고 하지만, 그러한 조건들도 개인마다 다릅니다. 자신의 삶에 감사하고 만족하는 사람들은 조건이란 충족되면 좋은 것이지만 없다고 해서 그로 인해 불행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불행한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처지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다른 사람들이 세워놓은 잣대에 자신을 맞추려하기 때문에 불행합니다. 따라서 행복한 왕자는 다른 사람을 위한 희생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느꼈을 것입니다.
△ 반대(이현세,우창엽): 행복이란 마음에서 오는 것이라고 하지만 그러한 마음도 가장 기본적인 삶의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가능합니다. 신체와 정신의 자유, 따뜻한 집, 굶지 않아도 되는 음식 같은 것 말입니다. 그리고 행복한 왕자는 동화 속에서 끊임없이 눈물을 흘립니다. 자신의 희생이 더 많은 사람을 도울 수 없고, 제비까지 희생시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행복한 왕자는 불행하였을 것입니다.
잘 읽어보셨나요? 행복한 왕자는 과연 행복하였을지, 행복의 기준은 무엇일지 여러분도 생각해보세요. 이번 토론을 통해 선생님은 ‘행복이란 뭘까?’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토론을 통해 승패를 가리는 것을 떠나 나는 과연 행복한지, 행복을 위해 어떤 삶의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생각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