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은 2차 성징이 여자 어린이는 8세 미만, 남자 어린이는 9세 미만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어차피 클 것 먼저 크는 게 좋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성조숙증은 성호르몬 분비 이상에 따른 질환이다.
성조숙증이 있는 어린이들은 정작 남들이 한참 자라는 중·고등학교 때는 키가 자라지 않는다. 성호르몬의 작용으로 뼈의 성장판이 일찍 닫히기 때문이다. 남들에 비해 성장 기간이 짧은 셈이다. 초등학교 때는 작은 키가 아니었는데 어른이 돼서는 작달막한 성인들도 성조숙증을 겪었다고 볼 수 있다.
갑작스러운 몸의 변화에 심리적으로 불안 증세를 겪거나 자신의 몸에 대해 수치스러워하는 어린이들도 적지 않다.
주된 원인은 과도한 영양섭취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이다. 체지방이 증가하면 `렙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렙틴은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
TV·인터넷 등을 통해 야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는 등 성적 자극에 일찍 노출되는 것도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환경호르몬이나 스트레스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도 원인이다. 드물게는 성조숙증의 원인이 뇌종양인 경우도 있다. 이때는 심한 두통이나 시력저하 증상이 동반된다.
어린이의 키성장을 막는 성조숙증의 원인은 비만과 영양과잉, 환경호르몬, 스트레스 등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여아는 성조숙증을 겪으면 성인이 됐을 때 유방암이나 조기폐경이 나타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성조숙증 예방 8대 수칙을 소개하고자 한다.
★ 첫 째, 키 140㎝가 될 때까지 체중 30㎏을 유지하라
★ 둘 째, 콜레스테롤이 높은 알종류, 조개류, 갑각류, 내장고기,
보양식 등을 피하라
★ 셋 째, 튀김류, 사골국, 트랜스지방을 피하라
★ 넷 째, 다양한 환경호르몬 노출을 줄여라
★ 다섯 째, 주3일 30분씩 땀 흘릴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하라
★ 여섯 째, TV, 인터넷 게임 등 시각적인 자극을 피하라
★ 일곱 째, 실내 환기를 자주 하고 10시 이전에 자라
★ 여덟 째,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줄여라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