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행정정보에 대한 공개대상과 제공방식이 대폭 개선·확대될 방침이다.
경상북도는 2014년까지 모든 행정정보에 대한 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사전공개 대상 항목을 현재 102개 항목에서 300개 항목으로 확대해 도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생산기록물에 대한 정보공개는 현재 690만 건에서 1천만 건까지 확대하고, 특히 생산기록물의 목록만 공개하는데서 원문까지 공개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로드맵을 공표할 계획이다.
또한, 행정기관에서 출자·출연한 기관까지 정보공개를 위해 김천시 등 15개 시·군에 대해 정보공개 조례가 제정될 수 있도록 관리해 현재 39개 기관을 포함 68개 기관으로까지 확대한다.
한편, 경상북도에서는 우선적으로 행정박물, 시청각 기록물 등 특수유형 기록물에 대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주민들이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행정정보를 제공받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상시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모니터의 의견을 수렴해 정보공개에 대한 불편사항을 즉시 수정해 반영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경상북도 주낙영 행정부지사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소통행정을 위해 `도정 3.0`을 적극 추진하고 모든 정보와 지식을 도민들에게 공개함으로써 신뢰 받는 도정을 펼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