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이 내려가고 날씨가 추워질수록, 옷차림이 두꺼워질수록, 점점 더 활동적이게 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소방관들이다. 사계절 중 겨울은 소방관들에게 있어 화재 성수기라고 할 수있을 정도로 화재 발생빈도가 높다
겨울철은 날씨가 추워질수록 난방용으로 전기, 가스, 유류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난로 등 난방기구를 사용하며, 이러한 난방기구 사용시 부주의로 인해 일반주택과 아파트 등 주거시설에서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해 전국 소방관서에서는 매년 11월을 불조심 강조의 달로 정하여 TV등 언론매체를 통한 불조심 홍보 및 각종 경연대회, 119안전체험장 운영, 불조심 캠페인 등 홍보활동 강화 및 다중이용업소 등 화재취약 대상에 대한 집중적인 소방안전 교육과 어린이들의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불조심 상상화 그리기 대회 개최 등 대대적인 화재예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겨울철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난방기구 주위에는 항상 소화기나 모래 등을 비치하여 만일의 상황의 경우 관계인들이 초기진화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난방기구 주위에 어린이 및 노유자 등 난방기구를 관리하기에 부족한 사람들을 홀로 남겨두지 않도록 한다. 셋째 난방기구 주위에는 유류 및 가스 등 인화성 물질을 적재하거나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위 내용처럼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설마 내가?`, `나한테는 그런 일이 안 일어날거야!`라는 안일한 생각들로 인해 대형화재로 이어지곤 한다.
그러므로 항상 난방기구, 화기, 연료 등을 다룰 때에는 주의심을 가지고 관리하며, 혹여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소화기 및 모래 등을 이용하여 초기진화를 한다면 대형화재로 번질 가능성을 줄여 화재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겨울철 화재예방을 위하여 난방기구 사용 시 경각심을 가지고 주의하며 관리한다면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