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시장 인도가 상인들의 노상적치물 진열 행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성주시장길은 평소에도 이와 관련한 민원이 다발하고 있는 곳이다.
인도에는 상인들이 내놓은 각종 상품 및 입간판 등이 점령해, 보행권 침해는 물론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제보자 A씨는 "군청 안전건설과에 지난해부터 민원을 넣고 있지만 계도하고 있다는 대답뿐 이렇다 할 개선 사항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며 "차는 도로에 몇 분만 세워도 딱지를 끊고 과태료를 부과하는데, 개인 사유지도 아닌 인도를 점령하고 있는 노상적치물들을 더 이상 놔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5월에 개최된 성주생명문화축제 기간 동안에는 인도에 자리 잡은 노상적치물들이 깨끗이 치워졌었다. 이는 성주군의 보여주기식 행정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군청 안전건설과 관계자는 "지난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노상적치물 집중 계도·일제 정비를 시행했다. 또한 지난달 말에는 각 읍·면에 노상적치물 계도 공문을 보냈다"며 "업무 담당자 및 읍·면 직원들도 여러 업무를 병행하다 보니 노상적치물 관리에만 집중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특히 노상적치물 관련 계도에 대해서는 "1·2차 계도 후에도 개선이 안되면 2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부과된 과태료는 현재까지 없다"고 전했다.
노상적치물 문제는 상점의 생존권과 주민의 보행권, 도시 미관 저해 등이 부딪히는 민감한 사안이다. 그러나 군민의 보행권 확보 및 쾌적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해 인도 위 적치물 제거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성주읍 주민 B씨는 "군에서는 클린성주 만들기를 활발히 홍보하고 있지만 성주시장의 경우 상인들이 가게·인도에 내놓은 각종 노상적치물로 인해 복잡하다"며 "말로만 클린성주를 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강도 높은 단속을 실시하거나, 상인들이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성주읍 주민 C씨는 "군청에서 노상적치물을 단속하는 모습은 한 번도 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이같은 무질서는 군청이 부추기고 있는 꼴"이라고 전했다.
현재 성주군은 군민들이 불편 없이 생활할 수 있는 보행자 환경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다. 군민들의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보다 성의 있는 인도 관리가 요구된다.
한편 교통안전공단이 지난해 전국 15개 시·도 지역 `생활도로 보행환경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행 중 느끼는 교통사고 위험 원인은 자동차가 40.1%로 가장 많았으며, 노상적치물 또는 도로시설물 23.2%, 이륜차 22.7% 등이 뒤를 이었다.
도시 규모별로 보면 특별·광역시의 경우 자동차 및 이륜차로 인한 위험 비율이 높았으며, 군·읍·면 지역은 노상적치물이나 도로시설물로 인한 위험 비율이 높았다.